IMF 격랑 속에서 출범한 국민의 정부도 벌써 3년이 다 돼 간다. 지난 3년간 언론의 주요 관심은 김대중 대통령이 어떤 개혁 조치를 추진하는가에 보도의 초점이 맞춰졌다. 개혁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논란은 차치하고, 이제는 언론 스스로 얼마나 보도의 준칙을 제대로 준수하고 있는지 한번쯤 되돌아 봐야 할 것 같다.이런 차원에서 최근 언론개혁 문제를 다루는 방송의 보도 태도는 문제가 있다. 언론 개혁이 아무리 신성한 당대의 화두라 할지라도, 공정성이 결여된 보도는 그 빛을 잃기 때문이다.언론사 세무조사 발표가 있던 지난 달 31일, KBS와 MBC 그리고 SBS 등 국내 방송 3사는 주요뉴스로 이 문제를 보도했다. 보도 형태를 보면 KBS가 <언론사 세무조사> <언론 예외 아니다> <결과 공개돼야> 등의 제목으로 모두 3꼭지를, MBC와 SBS는 <언론사 세무조사>란 제목으로 1꼭지씩을 다뤘다. 이후 지난 5일까지의 일련의 보도 양상은 KBS 7꼭지, MBC 5꼭지, SBS 4꼭지였다.보도의 물량 측면에서 KBS는 단연 돋보였다. 보도 내용도 크게 문제 삼을 것은 없다. 그러나 KBS 공방추는 보도비평을 통해 "KBS가 언론개혁의 전위대로 나섰느냐"며 자성을 촉구했다. KBS의 보도에는 세무조사의 당위성만이 강조될 뿐 다른 어떤 논리도 끼어들 틈이 없다는 것이다.보수적 색채가 강한 일부 신문들은 이번 세무조사가 언론 길들이기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9일까지 '세무조사가 치밀하게 준비된 무기'라는 입장을 맹목적으로 되풀이 하고 있다. 이런 일부 신문의 보도 태도는 결과적으로 전위대를 자처한 방송과 본질적으로 크게 다를바 없다.이런 와중에 정치권은 각 당의 이해에 따라 기사내용을 아전인수격으로 받아들이는가 하면, 이를 다시 정쟁의 수단으로 악용하는 파렴치한 행위도 마다하지 않았다. 시청자나 독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면, 언론이 정치권의 대리전을 충실히 수행한 것이다.언론이 이렇게 정치권에 이용당하는 동안, 다른 한쪽에선 소리 없이 무너지는 것이 있었다. 이른바 3대 개혁법안이라 불리는 국가보안법, 부패방지법, 인권의원회 설치 문제 등이 관심 밖으로 밀려났던 것이다. 시민단체들이 농성을 하고, 개혁법안의 추진을 요구할 때도 제도권 언론은 눈을 돌려다. 그러면서도 DJ 취임 3주년을 맞아 치적으로 내세울 4대 부문 구조조정 문제-재벌과 공공, 금융과 노동부문-만큼은 어떻게 돋보이게 포장할 것인가의 문제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방송의 영향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그만큼 파장과 후유증도 많아진다. 방송이 누구를 위해 보도하는 것인가에 대한, 가장 원초적이고도 본질적인 물음을 이젠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한다.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