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 기고] 박영훈 (MBC본부 목포MBC지부장)

세월호 참사가 난 지 1년이 지났다. 허술한 재난 대응의 민낯을 드러낸 세월호 참사는 ‘기레기’라는 이름으로 불린 침몰한 우리 언론의 문제점을 확인하는 현장이기도 했다. 광주MBC, 목포MBC, 여수MBC는 참사 1주기를 맞아 지역 뉴스데스크를 진도 팽목항 현지에서 공동 진행했다. 광주 전남 3사는 각사 가용 취재인력이 6~10명 안팎으로 특집 뉴스 전체를 소화하기가 버거운 상황이어서 제대로 된 보도가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했다. 목포MBC 보도부장이 광주MBC와 여수MBC에 제안했고, 3사 일선 취재진과 보도부장단이 연석회의를 했다. 4월 15일과 사고 당일인 4월 16일 이틀간 현지에서 진행하기로 하고 보도 아이템을 결정했다.

“함께 하자! 현장 기자와 데스크 교차 논의”

무엇보다 고민은 어떤 뉴스를 담을 가였다. 세월호 참사 이후 부각된 재난보도준칙 준수 등 각종 문제점을 제대로 풀어낼 수 있을 지도 어려움의 한 지점이었다. 참사 이후 지적돼 온 언론사 보도부내 현장기자와 취재데스크의 인식 간극을 어떻게 좁힐 것인가도 고심했다.

참사와 관련 사실을 진실을 제대로 전달하자는 고민이 가장 앞섰다, 일단 광주 목포 여수 MBC 3사 보도부는 기자 2명씩 참여해 뉴스 아이템을 논의했다. 현장 취재 과정에서 일선 기자들이 느껴온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생각을 반영하기 위해서였다. 일선 기자들은 분야별 아이템과 블록 편성 필요성 등 논의해 각 사 보도부장에게 보고했다. 이를 토대로 뉴스 아이템을 확정하고 목포MBC 보도부장이 최종 데스킹과 큐시트를 작성했다. 목포MBC 중계차가 배치되고 광주MBC와 목포MBC가 공동으로 앵커를 맡았고, 여수MBC는 선박 점검 등의 아이템을 도맡았다.

“이틀간 27개 리포트… 의문과 문제 제기 등 진상 규명에 초점”

광주-목포-여수 MBC 3사의 세월호 참사 1주기 특집 뉴스는 그동안 지역뉴스 편성과 비교해 많은 시간을 편성했다. 4월 15일 리포트 14개 아이템과 단신 2개, 16일 리포트 13개 아이템과 단신 4개를 배치했다. 이틀 동안 세월호 참사 1년을 다룬 리포트 27개와 단신 6개를 내보냈다. 일부 아이템은 이미 다른 언론사에 다뤄졌던 내용과 비슷했다는 한계가 있었지만 세월호 참사의 진상 규명과 정부의 책임 등에 초점을 맞춰 의미가 있었다는 것이 안팎의 평가다.

광주-목포-여수MBC,  '세월호 참사 1주기' 공동 특집 뉴스


특집 뉴스 첫 날인 4월 15일 △‘돌아온 4월’(정부 없는 세월호 위령제, 사고 해역에는 지금 부표만, 잠 못 이루는 동거차도) △‘기억’ 1년 전 오늘’(떠나서는 안 될 배였다, 출항에서 침몰까지, 풀리지 않는 의문들 급변침은 왜) △‘진실을 인양하라’(세월호 수사와 재판 1년,세월호 수사 재판 왜 빠른가, 특조위에게도 가만있으라, 인양 왜 필요한가?) △‘친구 함께 해요’(또 다른 가족 … 슬픔과 함께, 길 위의 아버지, 세월호와 교육공동체, 김민기 ‘친구’ 영상뉴스) 등 4가지 주제로 14개 아이템을 묶었다.

4월 16일 역시 △‘세월호 사고 1주기’(세월호 1주기…팽목항의 하루, 곳곳에서 추모행사, 뼛조각이라도 찾아주세요) △‘망각 그 후 1년’(세월호 그리고 돈, 두 번 우는 유가족, 박근혜 정부 어떻게 해왔나?) △‘국가란 무엇인가’(세월호 이후 정부 대책, 국민안전처 만들고 안전해졌나?, 여객선 직접 타봤더니, 지역경제도 침몰) △‘치유의 길로’(기록하고 증언하다, 정혜신 박사에게 묻다, 그날의 기억 영상리포트) 등 4가지 주제로 13개 아이템을 배치했다.

“진실 찾기 외면하면 2주기에도 우리 사회 아픔 계속”

광주-목포-여수MBC의 세월호 사고 1주기 특집 뉴스데스크가 나간 뒤 미디어오늘은 ‘MBC의 변신? 아 지역MBC였구나!’라는 기사를 실었다. 현재의 우리 언론의 상황의 일면을 보여주는 듯해서 반갑기보다는 씁쓸한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이번 공동 보도는 앞서 언급했듯 일부 아이템이 기존에 다른 언론에서 언급했던 뉴스들과 중복되는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아 진실 규명의 필요성을 다양한 주제로 다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세월호 참사는 국가 재난 대응 시스템의 부재뿐만 아니라 언론 참사라는 비난을 샀다. 그 비난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광주-목포-여수MBC의 뉴스가 재난보도준칙 등을 정말 제대로 지켰고, 다른 언론사 뉴스에 비해 모범이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자랑스럽게 답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 1주기에 광주-목포-여수MBC가 공동 보도를 한 것은 언론이 어떤 방식으로도 진상규명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전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언론이 진실을 찾는 노력을 게을리 할 경우 세월호 2주기, 3주기 등 다가올 가까운 미래에도 우리 사회가 아픔을 붙들고 통곡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