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호]연월차휴가 현행대로 실시 71.5%

2001-09-26     언론노련
노사정위안 강행하면 총력투쟁 88%, 생리휴가 폐지 반대 55%민주노총 주5일근무 관련 설문조사노동자들은 현 정부 임기 안에 주5일근무제 도입을 완료하되 탄력적 근로시간제 확대 등 큰 폭의 노동조건 후퇴에는 반대하며, 만약 현재의 노사정위 공익안 중심으로 법 개정을 강행하면 이를 막기 위한 총력투쟁에 나서는 데 동의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이 같은 결과는 민주노총이 공익안에 대한 대응방향을 세우기 위해 여론전문 조사기관 한길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무작위로 추출한 조합원 7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조합원 여론조사 보고서'를 통해 나타났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1년 단위로 확대하는 데 대해서는 조합원의 45.2%가 반대의견을 보였다. 실노동시간이 줄고 초과노동시간의 상한선이 엄격히 규제된 이후 확대하자는 의견 42% 등 전체의 87.7%가 반대하거나 시기상조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일 근무제 도입에 맞춰 연월차 휴가를 통합·축소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현행 유지를 바라는 의견이 71.5%에 이른 반면, 다소 줄일 수 있다는 이견도 27.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생리휴가 폐지에 대해서는 모성보호 차원에서 그대로 둬야 한다 55.1%, 모성보호제도 정비 후 검토할 문제 39.5% 등 현행 유지 또는 추후 검토의 의견이 많았고,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5%에 머물렀다.한편 정부가 현행 노사정위 공익안대로 법 개정을 추진한다면 이를 저지하기 위해 총력투쟁에 나서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매우 찬성 43.1%, 대체로 찬성 45.1%로 88.2%가 동의하는 것으로 집계됐다.민주노총은 이번 조합원 여론 조사 결과 대다수가 노사정위 공익안에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고 총력투쟁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다음달 열리는 대의원대회에서 이를 적극 반영해 투쟁방침을 확정할 계획이다.이번 조사에 응한 706명은 직종별로 생산직 26%, 사무직 44.1%, 보건 17.7%, 유통서비스 12.2%이며, 규모별로는 대기업 47.8%, 중소기업 52.2%이고, 근속년수는 5년 이하 33.3%, 6∼10년 38.1%, 11년 이상 28.6%, 성별로는 남자 68.7%, 여자 31.3%다./ 언론노보 313호(2001.9.26)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