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호]민주언론상 본상 수상소감

2001-11-29     언론노련
흔들림 없이 밀고나가라는 격려전국언론노조로부터 민주언론상 수상소식을 듣고 새삼 민주언론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1987년 말, 6월항쟁 직후 전 언론사들이 앞다투어 노동조합을 만들기 시작할 때 노조마다 구성됐던 공정보도(방송의 경우는 공정방송)위원회라는 기구가 있다.이 이름에는 언론사 내부 또는 외부에서(혹은 두가지가 연계돼서) 각종 압력이 들어올 때 이를 차단하고 방어할 바람막이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던 언론인들의 염원이 담겨 있다. 5공 독재 치하에서 정권의 눈치보기에 급급했던 언론에 우선적으로 필요했던 것은 편파성을 탈피하는 것이 지상과제였기 때문이다. 공정보도위원회는 이후 각 사별로 조금씩은 다르지만 자유언론 혹은 민주언론실천위원회로 이름을 바꾸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한국사회가 조금씩 민주화되면서 이해당사자 쌍방의 주장을 단순히 공정하게 싣는데 그치지 않고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정확하게 가려야 한다는 의지가 투영됐을 것이다.2001년 말 한국의 언론들은 이 '민주언론'이라는 기준에 얼마나 들어맞을까? 또 이른바 족벌신문들이 세무조사 때 들고 나온 신종 조어인 '비판언론'은 어떨까? 대답은 부정적이다. 사회적 약자보다는 강자 쪽에, 신진세력보다는 기득권세력 쪽에 서 왔던 것이 언론의 자화상 아닌가.특권세력화 돼있는 언론의 개혁은 시대적 과제이고 스스로 하지 않을 경우 타율에 의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특권세력이 기꺼이 자기개혁에 나선 적은 별로 없었다는 것을. 그렇기 때문에 답은 명백하다. 다른 모든 개혁의 선차적 조건인 언론개혁은 그 과정이 아무리 험난할지라도 계속되어야한다. 자신은 개혁을 거부하면서 남에게 개혁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언론개혁의 견인차요, '미디어비평'의 든든한 우군인 언론노조 동지들의 격려를 채찍질 삼아 언론사간의 투명한 상호비판이 정착될 때까지 더욱 힘차게 나설 것을 다짐한다./ 언론노보 317호(2001.11.28) 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