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인천일보 일부 이사 편집권 말살 통한 돈벌이 기도 발각

2005-11-22     언론노조
인천일보 일부 이사 편집권 말살 통한 돈벌이 기도 발각대주주 대리인 사무실에서 노조파괴, 언론사유화 계획 문서 발견  인천일보 일부 주주들과 편집국 주요 간부들이 노동조합을 파괴하고 편집권을 말살하려는 음모가 담긴 문건이 발견돼 지역사회와 언론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최근 정당한 인사명령을 거부해 온 일부 편집국 간부들이 오로지 자신들의 자리보전을 위해 편집권을 통째로 팔아넘기는 내용을 담고 있는 문제의 문건은 전국언론노동조합 인천일보지부(위원장 정찬흥)가 지난 18일 이 회사 대주주인 신화수 전 대표이사 사장의 법정 대리인인 김정섭 변호사 사무실 컴퓨터에서 발견, 이를 공개했다. ‘인천일보 회생의 핵심 키워드 증자’란 제목이 붙은 이 문건은 ▲지난 2년 간의 회고 ▲근본적 불신의 제 문제 등 현상 분석에 이어 ▲이사회 결의안(예상) ▲후속 이사회가 결의한 내용(예상) 등 편집권 말살과 노조파괴 공작 일정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  특히 인천일보는 올해부터 시행된 지역신문발전지원법에 따라 우선지원 대상 신문사 선정된 5개 일간지 중 하나라는 점과 인천일보지부는 모범적인 활동으로 언론노조로부터 민주언론상을 수상하는 등 모범적인 노사관계를 보여 온 언론사라는 점에서 더욱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문제는 이 문건의 핵심 내용들이 이미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겨지고 있다는데 있다. ‘12월 이후 노조 집행부 전원 사퇴,’ ‘일체의 조합 활동 잠정 중단,’ ‘단체협약 갱신,’ ‘조합 집행부 현업 복귀,’ ‘노조 위원장 보궐선거’등 노조 파괴 시나리오를 ‘후속 이사회가 결의할 내용(예상)’으로 언급하고 있다. 또한 인사 거부자들의 주장으로 보이는 ‘비대위 결의’란 부분에서는 ‘투자자에 대한 최대한의 적극적인 예우’를 통해 부장급 1인이 투자자 1개 회사를 전담해 기자들이 취재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를 일상적으로 보고하고, 각종 이권개입을 통해 투자이익을 보장하겠다는 내용까지 들어 있다.  이는 지역언론사로서 정도를 걷기 위해 각종 개혁을 추진해 온 노조와 집행부를 무력화하거나 제거하고 인사 거부자들을 활용해 노골적으로 언론을 돈벌이 수단으로 만들고, 항명자들은 자리를 보전하기 위해 편집권을 팔아넘기려는 충성서약이나 다를 바 없다고 인천일보지부는 분석했다.   특히 ‘증자 대안’으로 제시한 ‘펀드화 운용(인천일보, 펀드매니저, 증권회사 공동 날인)’ ‘주주들의 공동 결의 통한 고수익 투자(지역 내 각종 투자 사업)’등은 언론사를 투기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시키려는 의도로 보여 충격을 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사회 결의안(예상)’에서는 ‘인천일보 즉시 폐업,’ ‘노조든 비대위든 추가의 단체행동 시 무조건 폐업’ 등을 적시함으로써 자신들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회사를 파탄내겠다는 협박마저 서슴지 않고 있다.   인천일보지부는 언론개혁을 거부하는 인사거부자들의 항명으로 촉발된 사태가 개혁노조를 무력화시켜 언론의 사유화를 기도하려는 이사들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일보지부는 이같은 음모를 분쇄하고 편집권과 생존권 수호, 나아가 언론개혁을 위해 인천, 경기지역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강력한 투쟁을 전개해 나갈 방침이다.  문제의 김정섭 변호사는 안기부 인천시지부장 출신으로 인천일보의 대표이사 사장을 지낸 신화수씨 등으로부터 위임받은 인천일보 주식 40% 가량을 등에 업고 등기이사로 활동하고 있는 인물로 인천지방변호사협회장을 역임하는 등 지역에서 적잖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김 변호사는 지난 9월 말 인천일보 노사가 합의해 단행한 대폭 인사에서 편집국 공채1기 출신 부장급 간부들이 이른바 비대위를 구성, 조직적으로 반발하자 이를 이용, 해당 문건을 작성하며 본격적인 노조 파괴 공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인천일보지부는 문제의 문건을 김 변호사가 단독으로 작성한 것이 아니라 김 변호사를 비롯한 일부 이사들 혹은 이른바 비대위의 핵심인사들과의 교감을 통해 작성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해당 문건이 파장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이처럼 언론사의 편집국 간부들이증자를 빌미로 언론사의 생명인 편집권을 통째로 자본에 넘겨주겠다는 의도를 서슴없이 드러내 보이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문건은 증자를 위해서라면 ▲경영 정상화를 위해 급여도 받지 않겠다 ▲수익이 나면 그 수익을 나눠 가질 뿐이다 ▲투자자에게는 부장급 기자 1명을 담당자로 지정, 기자들이 취재과정에서 취득한 정보를 일상적으로 보고하면서 수익을 보장하겠다는 등의 상상할 수 없는, 비상식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다.   인천일보지부는“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600여명에 이르는 인천일보 구성원들과 가족들의 생존권을 빼앗겠다는 인물들이 인천일보의 이사로 남아있다는 것이 부끄럽다”며 “이들에 대한 인적청산이야말로 인천일보 제자리 찾기의 처음이자 마지막일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 김칭우 사무국장 011-9747-2425, 남창섭 정책국장 011-213-1219       전국언론노동조합 인천일보지부 032-777-8821, 4520-282 <끝>▶ 관련 성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