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보도자료] “EBS 경영적자가 청소노동자 탓인가”

EBS 청소노동자 부당해고 규탄 언론노조·공공운수노조 공동기자회견 청소노동자 고용승계 촉구

2023-06-08     언론노조

청소노동자를 일방적으로 해고하고 부당노동행위를 방치한 EBS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6월 8일 오전 11시 30분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과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공공운수노조)은 EBS 정문 앞에서 청소노동자 해고 사태를 방관한 EBS를 규탄하는 한편 전원 고용승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EBS는 올해 신규 용역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청소노동자 3명을 감축할 것을 요구했고 이에 고용불안을 느낀 청소노동자들은 노동조합(공공운수노조 경기지역지부 EBS분회)을 결성했다. 그러자 신규 용역업체 ㈜코드원은 지난 5월 9일 분회장, 부분회장, 사무장 등 노동조합 핵심간부 3명에게 해고를 통보했다. 해고 당사자 3명은 해고일로부터 지금까지 매일 출근 투쟁과 선전전을 진행 중이지만 원청인 EBS는 경영적자를 핑계로 용역업체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이날 발언에 나선 김미숙 공공운수노조 경기지역지부 EBS분회 부분회장은 “6년 넘게 쓸고 닦은 EBS가 청소 용역 교체 과정에서 경영적자를 이유로 청소노동자들의 근무시간을 줄이고 주말근무를 없앤 탓에 남은 동료들의 근무환경도 열악해졌다”며 “사회적 약자인 청소노동자의 임금을 삭감해 경영적자를 얼마나 회복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청소노동자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삶을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200억이 넘는 EBS 경영적자 중 청소노동자의 책임과 경영진의 책임은 각각 몇 퍼센트이며 비례하게 책임이 물어지고 있는지 묻고 싶다”며 “가장 약한 노동자를 잘라내는 뻔한 수법으로 경영위기를 탈출하지 못하면 이후엔 누구를 해고할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이준형 공공운수노조 경기지역본부장은 “학교 비정규직 노동조합이 처음 만들어진 2011년 학교 비정규직의 현실을 알리는 방송을 5회에 걸쳐 내보낸 EBS가 청소노동자를 해고해 깜짝 놀랐다”며 “EBS가 청소노동자 직접고용에 나서지 않는다면 민주노총 110만 조합원이 싸움을 이어갈 것”이라고 목소리 높였다.

김영민 한빛미디어노동인권센터장은 “급격한 미디어환경 변화와 정권의 언론탄압으로 인한 불안감 앞에서 가장 취약한 노동자부터 잘라내고 책임을 전가하는 건 EBS 구성원들의 위기에 대처하는 방법이 될 수 없다”며 “EBS가 청소노동자들에 대한 부당해고를 철회하고 노조와 대화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김봄빛나래 민주언론시민연합 교육콘텐츠팀장은 “대규모 적자로 비상경영을 선언한 공영방송 EBS가 재정위기를 타파하기 위해 선택한 건 가장 힘 없는 청소노동자를 내치는 반공영적 방법”이라고 지적하며 “EBS는 경영적자의 책임을 청소노동자에게 전가하지 말고 고용승계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백영범 고양시공공기관노조연대 위원장은 “청소노동자 부당해고는 수많은 노동자들이 쌓아온 공영방송, 교육방송 EBS의 명성을 무너뜨리는 일”이라며 “고양시공공노조연대는 EBS 청소노동자들과 끝까지 연대하고 투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기자회견엔 언론노조, 공공운수노조, 고양시공공기관노조연대, 민주언론시민연합, 한빛미디어노동인권센터가 참석했다. 한편 언론노조와 공공운수노조는 기자회견이 끝난 뒤 오후 2시부터 <청소노동자 해고 EBS 규탄, 전원 고용승계 촉구> 결의대회를 이어갔다.

기자회견 사진 : https://bit.ly/3MVk7g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