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동조합 지역협의회 공동성명]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지역민의 알 권리를 지키겠다
[전국언론노동조합 지역협의회 공동성명]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지역민의 알 권리를 지키겠다
지난 24일(목) 일부 국가를 제외한 전 세계가 우려와 반대 의사를 밝혔던 일본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 방류가 시작됐다. 오래 전부터 세계 각국의 핵발전소 냉각수 해양 방류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핵 오염수는 2011년 3월 녹아내린 핵 연료봉에서 발생한 각종 위험물질이 포함된 전혀 다른 오염수이며, 30년 이상 최소 130만 톤에 달하는 유례 없는 해양 방류다.
일본이 처리한 오염수 안전성에 대한 과학계의 여러 진단에도 불구하고 바다에 면한 지역 뿐 아니라 내륙 지역까지도 수산물과 연관된 생계가 위협받고 식품 안전과 건강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는 지역민의 우려와 반대를 ‘가짜뉴스’와 ‘괴담’으로 ‘선동’하는 언론 탓으로 돌리고 있다. 게다가 지난 두 달 동안 정부는 오염수 안전성만을 주장하는 동영상 하나에 무려 10억 원의 예산을 지출하는 ‘선전’에 몰두했다.
오염수 방류에 대한 정부 대책에 과연 지역 민심과 상황이 제대로 전달되고 있는지 의문이다. 수산업이라는 한 단어로 포괄하기 힘든 다양한 지역의 경제와 생태 위기를 동영상 한 편으로, 의례적인 정치인 방문으로, 형식적인 지원금만으로 해소할 수 있는가.
전국언론노동조합 9곳의 지역협의회는 오염수 관련 대책에서 또 다시 드러난 지역 소외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 무엇보다 전례 없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지금 당장이 아니라 지역의 후속 세대가 맞을 생태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칠 지 모를 도박과 다름 없기 때문이다.
이런 위기를 맞아 지역언론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오염수 방류 직후 집중되는 중앙언론의 보도는 시간이 흐를수록 줄어들겠지만 지역의 불안과 염려는 전혀 그렇지 않다. 오염수 방류 뿐 아니라 지역 생태, 환경, 기후위기에 대한 지역 언론의 감시와 보도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지역언론에 대한 공적 지원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게다가 대통령실, 문화체육관광부, 그리고 이동관이 취임한 방송통신위원회는 지금도 부족한 지역 언론 지원을 오염수 안전성 홍보과 ‘가짜뉴스’ 단속으로 전환할 기세다. 지역에 미칠 오염수 피해 예측과 검증을 정확하게 보도하고 지역민의 여론을 수렴할 지역언론의 책무는 그 어떤 정치적 입장과도 무관한 ‘알 권리’의 보장이다.
전국언론노동조합 9곳의 지역협의회는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에 관련된 모든 보도와 콘텐츠에 오직 지역민의 알 권리만을 가치로 삼을 것이다. 이에 대한 어떤 개입과 규제도 우리는 공정보도에 대한 개입이자 통제로 간주하고 그 과정을 낱낱이 공개할 것이다. 이것은 지역언론의 책무이자 지역 후속 세대를 위한 의무이다.
2023년 8월 30일
전국언론노동조합 강원협의회•경인협의회•광주전남협의회•대구경북협의회•대전세종충남협의회•부울경협의회•전북협의회•제주협의회•충북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