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보도자료] “방송의 ‘ㅂ’자도 모르는 김홍일 방통위원장 지명 철회하라!”

언론장악 저지 공동행동(준) 김홍일 지명 철회 촉구 기자회견 개최

2023-12-19     언론노조

현업 언론단체 및 시민사회단체가 한 목소리로 김홍일 방송통신위원장 지명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민주언론시민연합 등이 주축이 된 언론장악 저지 공동행동(준)은 19일 오전 10시 국무회의가 열린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방송, 통신 관련 경력이 전무한 김홍일 후보자에게 방통위원장을 맡긴다면 어떤 후폭풍이 닥칠지 가늠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김홍일 후보자가 현직 국민권익위원장 자격으로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방통위 업무보고를 받고 있는 상황을 들어 “국무회의에 위원장이면서 위원장이 아닌, 위원장이 아니면서 위원장인 자가 2개 기관을 사실상 통솔하는 유례가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국정 최고 의결 기구인 국무회의가 한 편의 코미디가 돼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김홍일 후보자는 이동관 방통위 체제에서 벌어진 공영방송 장악 과정에 국민권익위원장으로서 깊숙이 개입한 자”라며 “권익위 조사권을 남용해 공영방송 이사 불법 해임에 적극 가담하면서도 대통령이 내리꽂은 박민 KBS 사장의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전혀 조사하지 않은 인물에게 공정성과 독립성은 가당치 않은 수식어”라고 김홍일 후보자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이진순 민언련 상임 공동대표는 “박민 KBS 사장은 대통령 술친구로 불리우고, 대통령 검사 선배 김홍일은 국민권익위원장과 방통위원장을 겸직하는 웃기는 상황”이라며 “방통위는 엄연히 국가권력으로부터 독립돼서 운영돼야 하는 기구인 만큼 대통령의 언론장악 교두보 역할을 할 김홍일 후보자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성순 민변 미디어언론위원회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자 시절부터 당선 직후까지 각 분야 전문가들에게 국무를 맡기겠다 했지만 대통령과의 친분에 따른 인사가 이어지며 국민 피로감만 증가하고 있다”며 “친분이 있는 사람이 방통위원장으로 온다고 방송이 장악되고 대통령 우호적 여론이 형성되는 게 아니다. 이럴수록 여론은 대통령에게 등을 돌릴 것”이라 꼬집었다.

이호찬 언론노조 MBC본부장은 “김홍일 후보자는 방송 전문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BBK 사건에 면죄부를 준 검사이자 삼성그룹 노조 탄압을 변호한 변호인”이라며 “이제는 방통위가 노조 탄압까지 하려고 김홍일 후보자를 내세운 건가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언론장악 저지 공동행동(준)은 이날 기자회견문을 통해 “12월말에 허가 기간이 끝나는 KBS 2TV·SBS·MBC UHD 등 지상파 3사를 포함한 34개사 141개 방송에 대한 재허가·재승인 심사가 닥쳐있고, 앞서 보류된 YTN의 최대주주 변경 절차도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며 “이동관이 쫓겨난 이유는 2인 체제로 합의제기구로서의 정당성을 상실한 방통위를 제멋대로 좌우하며 언론에 대한 반헌법적 검열과 장악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방송의 비읍자(ㅂ)도, 통신의 티읕(ㅌ)자도 모르는 김홍일이 방통위에 들어 앉는 순간 저지르게 될 일들도 그와 다르지 않을 터”라고 비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동관 전 방통위원장이 취임 98일만에 자진 사퇴하자 후임 방통위원장으로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을 지명했다. 김홍일 후보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가장 존경한다고 꼽은 ‘검사 선배’로 방송 및 통신 분야 경험이 전무하다. 윤 대통령은 지난 6일 김홍일 후임 방통위원장 후보를 지명하며 “과거 어려운 가정형편에서 자수성가한 인물”이라는 추천 이유를 밝혀 논란을 자초했다.

한편 언론노조는 19일 오전 11시 30분부터 김홍일 방통위원장 후보자 지명 철회를 촉구하는 광화문 광장 1인 피켓 시위에 돌입했다.

기자회견 사진 : https://bit.ly/3vctvX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