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국가기간통신사 연합뉴스마저 뒤덮은 '언론장악 카르텔'

- 연합뉴스 황대일 사장 선임에 대한 언론노조 입장 

2024-09-27     언론노조

과거 보수 정권에서 MBC 장악의 부역자 노릇을 했고 불법적 방송통신위원회 2인체제에서 공영방송 이사 선임에 손을 댔다가 국회에서 탄핵소추된 이진숙, 현 방송통신위원장. 과거 YTN 기자 대량 해직 사건을 주도했으며, YTN 졸속 매각 후 언론장악 하청업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김백 현 YTN 사장. 선거방송심의위원회 역사상 최악의 정치심의 파행을 주도했던 최철호, 현 시청자미디어재단 이사장. 방문진 이사 시절 언론노조 MBC 본부의 파업을 폄훼하고 ‘트로이컷’을 활용한 사측의 노조 사찰을 비호한 이인철 현 KBS 이사. 모두 공정언론국민연대(공언련)라는 극우언론단체와 직간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자들이다. 이미 언론계에서는 권언유착, 방송 사유화 등의 부적절한 행각으로 퇴출됐던 인물들이지만, 윤석열 정권 아래 '언론장악 카르텔'로 부상한 공언련의 비호 아래 언론 미디어 분야 공공기관에 무더기로 내리꽂혀 혈세를 축내고 있다. 

국가 기간 통신사인 연합뉴스도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카르텔'인 공언련의 검은 그림자가 뒤덮었다. 박근혜 정권 시절 핵심 보직을 역임하며 연합뉴스의 공정보도 시스템을 파괴하고 불공정보도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정직 6개월의 중징계를 받기도 했던 황대일이 사장에 선임된 것이다. 당시 황대일을 포함한 연합뉴스 수뇌부는 국정교과서 논란이나 탄핵 촉구 촛불집회 보도와 관련하여 억지스러운 기계적 중립을 강요한 바 있다. 이번 정권 들어서 황대일은 공언련이 창간한 매체 <미디어 X>에 편향된 정파성과 극우적 인식을 드러냈다고 평가받는 칼럼을 써오기도 했다. 

윤석열 정권은 정부 구독료 약 300억 원을 50억 원 수준으로 대폭 삭감하며 연합뉴스의 재정을 압박해왔고, 최근에는 연합뉴스의 감독기구인 뉴스통신진흥회에 이명박 캠프 언론특보 출신과 총선 당시 국민의힘 예비후보였던 편향적 인물들을 내리꽂았다. 뉴스통신진흥회의 친여 성향 이사들은 황대일 후보에게 몰표를 던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언론 생태계에서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연합뉴스마저 극우 담론의 전초기지로 삼으려는 속셈으로 보인다.

황대일 사장 내정자에게 경고한다.

삼척동자가 봐도 알만한 윤석열 정권의 극우 카르텔에 의해 연합뉴스 사장 자리에 앉게 된 당신이다. 그러나 바닥을 치고 있는 정권 지지율이 보여주듯, 윤석열 정권식 언론장악 시도의 유효기간은 이미 끝난지 오래다. 연합뉴스의 공정보도 체제에 손을 대려는 일말의 시도라도 포착된다면, 언론노조는 연합뉴스 노동자들과 연합뉴스의 주인인 국민과 함께 연합뉴스를 지키기 위한 총력 투쟁에 나설 것이다. 이미 성난 국민과 언론인들이 당신의 일거수 일투족을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말라.

2024년 9월 27일

전국언론노동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