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개혁 호외] 새로운 한 주의 시작, 언론개혁 피케팅과 함께!
내란수괴 윤석열은 파면됐지만, 그가 남긴 언론 내란 세력들은 여전히 한국 언론사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그들은 한국을 대표하는 방송사 사장 자리에서, 또 언론 정책을 결정하는 자리에서, 보도 공정성을 심의하는 자리에서 ‘언론 내란 행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권 하에 이뤄진 언론장악의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해 아직까지도 언론사와 방심위, 방통위에 남아있는 언론 내란 세력의 뿌리를 뽑아내야 합니다.
언론노조가 발표한 7대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 보장을 위한 신속한 법안 처리
2)윤석열 정권의 언론장악 진상 규명 및 책임자 처벌
3)신문 편집의 독립성 확보와 정부 광고 집행 정상화
4)실효성 있는 지역신문·방송 진흥 방안 마련
5)미디어 노동시장 비정규직 처우개선
6)통합 미디어 기구 설치를 통한 미디어 진흥·규제 체제 정비
7)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의 사회적 책무 강화
언론노조 13대 집행부와 사무처는 오늘도 언론개혁을 촉구하며 광화문 피케팅에 나섰습니다. 그 외에 각 지역에서 언론개혁을 촉구하는 모습들 함께 확인해보시죠!
언론노조 강원협의회(KBS강원영동지부, KBS강원영서지부, MBC본부 강원영동지부, MBC본부 춘천지부, MBC본부 원주지부, CBS지부 CBS강원지회, G1방송지부)는 오늘 춘천에서 합동 피케팅을 진행하며 지역방송 지원 확대에 대한 중요성을 시민들에게 알렸습니다.
여의도역 앞에서는 KBS본부가 피케팅을 하며 언론계 곳곳에 남아있는 내란세력 척결과 언론장악 책임자 처벌이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언론노조 EBS지부도 길거리에서 피케팅을 하며 언론개혁 7대 과제를 알렸습니다!
언론노조 MBC본부와 YTN지부는 함께 상암에서 피케팅을 진행하고, 언론개혁과 김백 YTN 사장 퇴진을 촉구했습니다.
언론노조 MBC본부 전주지부와 광주지부는 아침 일찍부터 출근길 피케팅을 진행했습니다.
MBC본부 충북지부는 충북대학교 앞에서, 안동지부는 경상북도청 앞에서, 부산지부는 부산역 앞에서, 목포지부는 목포역 앞에서, 경남지부는 마산역 앞에서 선전전을 이어갔습니다!
뿐만 아니라 언론노조 MBC본부 대구지부, 대전지부, 여수지부, 울산지부, 제주지부도 가열차게 언론개혁 7대 과제 이행을 촉구하는 선전전을 진행했습니다!
그 외에도, 오늘 JIBS지부는 JIBS제주방송 본사 앞에서 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노조 탄압, 폭언 및 직장 내 갑질, 단협 위반 등의 행위를 일삼은 정진홍 JIBS 대표이사의 퇴진을 촉구했습니다.
오늘의 언론개혁 과제 소개 TIME
*윤석열은 어떻게 언론을 망쳤을까요? 회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윤석열은 임기 내내 광범위한 언론장악을 자행했습니다. KBS엔 윤석열 낙하산 사장이 내려 앉았고, 서울시 공영방송 TBS는 서울시 지원 조례안 폐지로 폐국 위기에 몰렸습니다. YTN에는 이명박근혜 정권 시절 YTN 대량 해고 사태를 주도했던 김백이 사장으로 돌아와 정권편향적 보도를 이끌었습니다. 뿐만아니라 언론사는 물론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도 장악의 대상으로 삼아, 비판적 언론사를 심의와 정책으로 압박했습니다. 이처럼 윤석열 정권 하에서 벌어진 언론장악 사례는 셀 수 없이 많습니다. 언론장악 재발을 막기 위한 첫 걸음은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입니다. 언론노조는 이를 위해 △윤석열 정부 시기 이루어진 KBS, MBC, YTN, TBS 관련 이사 해임, 민영화, 출자출연기관 해지 등에 대한 국회의 진상조사 특위 구성 △이동관・김홍일・이진숙 방통위 체제에서 수행한 수신료 분리고지와 KBS 사장 해임, KBS 이사 임명의 절차적 적법성, 전방위적 MBC 장악 시도, 공공기관 경영효율화를 빙자한 YTN 공기업 지분 강제 매각의 내막, 서울시의회의 일방적인 TBS 조례안 폐지를 방관한 방통위의 책임 묻는 특위 구성을 요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