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호]신문지국장 공동판매회사 설립찬성
2001-02-21 언론노련
배달인력난 해소 판매수익 증가 70% 넘어신문 10부당 무가지 3부, 파지처리 1부과열경쟁 지국운영 어려워 언론노조 역할 필요신문의 배달을 맡고 있는 일선 지국장들의 절반 가량은 여러 신문을 공동 배달하는 판매전담회사의 설립을 원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언론노조의 지원과 관련법 개정을 통한 정부의 지원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신문 10부당 3부정도가 무가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1부는 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파지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사실은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신문공동배달제 도입을 위해 한국언론재단 허행량 선임연구원에게 의뢰해 지난 1월6일부터 2월11일까지 전국의 일간지 지국장 527명을 대상으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나타났다. (표집오차 95%신뢰수준에서 ±3.85%)<공동배달>신문공동배달 확대를 위한 판매전담회사 설립에 대해 지국장의 46.3%가 찬성했으며 29.8%가 반대하고 나머지는 보통이다고 답했다. 또 판매회사 설립을 위해 언론노조의 할 일에 대해 지국장들의 39.5%는 직접적 지원을 요구했고 32.8%는 관련법 개정운동을 통한 정부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23.9%는 전국신문판매지국장 협의회 구성을 지원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공동배달제의 효과에 대해 지국장의 83.7%는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으며 76.5%가 판매수익이 늘어날 것이라고 답했다. 이익이 되지 않을 것이다는 14.8%에 그쳤다. 또 현재 여러개 신문을 공동배달하고 있는 지국의 월평균 수입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4개신문을 배달하는 지국의 월평균 수입은 1천787만원, 1개신문 배달은 1천99만원이었다. 공동배달을 확대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63.9%가 우수지국에 세제지원을 해야한다고 답했고 15.2%s,s 반대했다. 기존지국의 이익단체화를 통한 공동배달확대방안에 대해서는 66%가 찬성, 13.9%가 반대했다.<배달내역>일간신문 지국이 매일 본사로부터 받는 발송부수는 평균 873.6부였으며 이중 68.9가 유가부수이며 나머지 31.1%는 무가지로 조사됐다. 특히 무가지 가운데 전체 발송부수의 11.1%는 곧바로 파지처리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잔지'라 하는데 한국신문의 하루 발행부수가 1천만부라 할 경우 111만부가 매일 파지처리되는 것으로 광고수익을 위해 필요없는 신문을 마꾸찍는 자원의 낭비행위가 여전한 것으로 지적됐다. 잔지의 경우 지방지가 제일 많고 경제지 중앙일간지 영자지 스포츠지, 구독을 전제로 하지않는 '무가투입지'의 경우 경제지 중앙일간지 스포츠지 지방지 순이었다. 중앙일간지의 무가지 비율은 평균 30% 안팎이었으나 최고 45.2%에 달한 신문도 있었다. <구독형태>매년 배달독자 가운데 구독을 끊는 이탈독자의 비율이 평균 9.5%대 인데비해 새로 확보한 독자의 비율은 8.6%로 신문독자수가 다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독중단 사유로는 경품등 구독조건 불만이 37.2%로 가장 많았고 이사가 32%, 신문내용 불만이 16.1%, 배달불만이 6% 순으로 나타났다. 독자의 이탈 및 신규구독은 경인 전라지역이 가장 높았다. <지국운영>신문지국 운영의 최대 애로사항은 신문사간 과열경쟁이 37.6%로 가장 높았고 구독자의 잦은 이탈 14.2%, 배달원의 잦은 이직 13.1%, 본사의 지원부족 12.1% 순이었다. 판촉비 본사지원금 등은 언론사간 큰 편차를 보였는데 지국에서 직접 지출하는 월평균 판촉비는 144만8천원이었다. 최고 251만원, 최저는 52만원이었다. 부수당 확장비 평균은 4천2백원이었으나 무려 9천9백원을 지출하는 지국도 있어 불공정거래행위가 지속되고 있음을 입증했다./ 언론노보 300호(2001.2.21)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