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호]지역방송 '홀로서기'제도적 지원 필요
2001-05-03 언론노련
언론노조 '위기의 지역방송 대안은 무엇인가' 토론회'지역방송 소멸론'까지 등장하고 있는 지역방송의 위기 극복을 위해 방송위원회 학계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 법적·제도적 개선에 나서야 하며 중앙방송과 지역방송의 수직적 관계를 수평적 관계로 보완하고 지역 방송사간의 연대의식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정상윤 경남대교수(정치언론학부)는 전국언론노동조합이 3일 오후 부산KBS 공개홀에서 '위기의 지역방송, 그 대안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갖는 토론회 발제문에서 지역방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마련과 방송내부 개혁을 위한 방송인들의 개혁노력이 요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정교수는 위성 디지털 인터넷 방송 등 '선택의 확대'로 일컬어지는 방송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방송인의 64%가 지역방송의 약화를 우려할 만큼 지역방송은 심각한 위기상황을 맞고 있다고 밝혔다. 정교수는 지난해 방송위원회 조사를 인용, 지역방송의 장애요인으로 중앙사에 대한 편성·경영의 종속구조, 협소한 광고시장과 열악한 예산, 전문방송인력의 부족 등을 꼽았으며 이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방송불만족도가 54.6%에 이르며, 만족도는 11.6%에 그치고 있다고 밝혔다. 정교수는 지역방송 발전을 위한 법적 제도적 보완책으로 △방송위원회에 지역방송위원 선임 △방송발전기금의 지원 △광고요금의 현실화 및 지역방송광고 수수료율 인하 △복수네트워크 가입허용 △지역프로그램 전국방송 때 본사외주제작비율로 인정 △시청자 참여 평가프로그램 신설 △지역방송관련 산업의 정책적 육성 △로컬편성비율의 합리적 조정 △지역방송편성시간대 보완 등을 꼽았다. 또 방송사 자체노력으로는 △본사지역방송담당 부서 및 지역방송담당 이사 선임 △지역방송의 광역화 △프로그램 질 향상 △지역저널리즘 강화 △시청자 욕구확증제도 도입 △편성권확보 △제작비 현실화 △제작인력 확충 △매체간 편성차별화 전략수립 △시청자 위원회 활동의 내실화 등을 지적했다. 정교수는 이를 위해 방송위와 학계 시민단체 등이 폭넓게 참여하는 협의체를 만들어 조율과 권고가 이뤄지는 장을 열어야 하며 무엇보다 구성원들의 노력과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유재천 한림대부총장이 사회를 맡았으며 김춘희 방송위부산사무소장, 박종웅 한나라당의원, 김상훈 언론노조정책실장, 박진해 마산MBCPD, 변이철 경인방송기자, 이영풍 부산KBS기자, 정범구 민주당의원, 홍춘기 대전방송기자가 토론자로 참석한다./ 언론노보 305호(2001.5.3)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