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민실위]정쟁과 자사이기주의가 난무하는 신문

2001-07-12     민실위
정치권과 언론계가 그야말로 `막나가고' 있는 느낌이다. 정치인들은 언론을 향해 험담을 퍼붓고 언론도 다른 언론과 정치권을 향해 독설을 서슴지 않는다. 여기에 학자와 문인들까지 가세하고 나섰다.그동안 정치권을 향해 "민생문제는 제쳐둔 채 정쟁만 일삼고 있다"고 비난하던 신문들이 자사이기주의에 매달려 오히려 정쟁을 부추기고 있는 것이다.이른바 `빅3'가 7월 2일 "언론공격은 김정일 답방용"이라는 한나라당의 주장을 머리기사로 내세운 것이나 같은 날 조선일보가 한나라당이 발표한 `언론압살 계통도'를 소개하며 "언론탄압에 칼자루 쥔 호남출신들을 총동원했다"고 보도한 것 등은 언론문제를 정쟁의 대상으로 몰아간 전형적으로 기사로 판단된다.조선일보는 민주당 추미애 의원의 `취중폭언'을 7월 6일자 1면에 단독보도하며 "×같은 조선일보" "이회창이 이 놈"이라는 말을 제목으로 뽑아 선동적인 보도태도라는 지적을 받았다.다른 종합일간지들이 추미애 의원 파문과 함께 "신문이 정권 비판을 계속해야 한나라당이 차기 대선에서 이긴다"는 한나라당 김문성 총재비서실장의 발언을 소개한 것과는 달리 동아와 조선은 김문성 발언을 싣지 않았다. 또한 조선 등은 언론개혁을 요구하는 수많은 집회에 대해서는 침묵한 반면 4일과 11일 한나라당의 언론탄압 규탄대회를 부각시키기도 했다. 반대로 한겨레의 보도태도에 대해서도 편향성 시비가 제기됐다. 사실에 근거한 조-중-동 비판은 당연한 것이지만 세무비리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김병관 동아일보 명예회장의 고대앞 취중 실수 사진을 부각시키고 특정 답변을 유도하는 듯한 문항으로 여론조사를 하는 것 등에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사설이나 칼럼에서 나름대로의 시각과 신문이 지향하는 방향을 드러내는 것은 오히려 장려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자사이기주의적 관점에 맞춰 기사를 취사선택하거나 특정 대목만 부각시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독자의 알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이다.그래도 최근 들어 정치권과 언론계에서 차분하게 사태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기대를 걸게 한다. 비록 일부 신문은 외면했지만 여야 개혁파 의원들은 워크숍을 갖고 언론개혁 문제를 논의했으며 오는 19일 정기간행물법에 관해 토론할 예정이다.언론개혁을 둘러싼 논의 과정에서 그동안 비교적 목소리를 크지 않았던 신문들도 이제는 편을 갈라 힘겨루기만 계속할 게 아니라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기 시작했다.11일자 한국일보의 `이슈와 현장-언론개혁이냐, 탄압이냐…편갈린 사회'를 비롯해 경향신문과 문화일보의 언론계 진단 시리즈 등은 극단적인 대립양상을 보이는 언론계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동아와 중앙에도 미세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 듯하다. 동아는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의 착각'이란 제목의 9일자 사설에서 "한나라당은 작금의 언론사태를 지극히 정략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한나라당의 차기집권을 돕기 위해 현 정부를 비판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라고 잘라말했다. 중앙도 11일자 사설 `언론이 정쟁대상인가'를 통해 "언론을 정쟁의 희생물로 삼지 말 것"을 경고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