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특보]'검은경영' 장씨일가 즉각 퇴진하라

2001-07-23     언론노조
유학 여행경비 등 빼돌린 회사돈 수백억부채 4,300억 '4대 일간지' 벼랑끝 몰려노조, 주주 가지급금 환수 사재출연 촉구한국일보지부가 지난 6일의 12시간 파업, 11일 24시간 파업에 이어 7월 20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고 회사측이 대체근로와 직장폐쇄로 대응함으로써 한국일보 사태는 최악의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지부는 그 동안 지난 4월부터 6월 15일까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퇴직금의 원상회복, 가지급금 회수 등'을 핵심 요구로 본교섭 6차례, 실무교섭 8차례를 진행했다. 지부는 서울지방노동위원회를 통한 조정 또한 1차 연기하며 사측의 성의 있는 교섭을 촉구했으나 사측의 태도는 변화가 없었다. 거기다 지부가 시한부 파업을 통해 사측의 결단을 촉구하고 7월 16일과 18, 19, 20일 연속된 실무교섭에서 비정규직 문제를 제외한 다른 사항에 대해 유연한 입장을 보였음에도 회사는 요지부동이었다. 파업에 대응한 대체근로 투입과 직장폐쇄 또한 조합원들의 감정을 자극하는 적반하장이 아닐 수 없다. 사태 해결을 위한 노력은 고사하고 불에 기름을 끼얹는 식의 감정적 대응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뿐이다. 지부에 따르면 회사 최고 책임자가 '내가 모든 책임을 질 테니 대체근로를 시키라'고 명했다고 한다.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은 별 것 아니라는 식이다. 4대 일간지라는 신문사 최고 경영자의 체면이나 품위는 아랑곳없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번 한국일보 사태의 핵심적인 문제는 주주들의 퇴진을 통한 경영투명성의 확보라고 본다. 언론노조가 지난 5일 한국일보 주요 주주들을 '업무상 배임 또는 상법상의 특별배임죄'로 서울지검에 고발했지만 한국일보의 '검은 경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런저런 변명성 얘기가 들리지만 주주들이 가져간 단기대여금(가지급금) 수백 억 문제는 오늘의 한국일보 문제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퇴직금을 담보로 잡히고 사적 화의의 연장에 급급하면서도 수백 억을 돌려놓지 않는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도대체 불가사의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파업으로 인한 한국일보의 손실은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조합원들이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조합원들의 심정은 어떻겠는가. 제 살 깍는 아픔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한국일보의 경영을 투명하게 하지 않는 이상 한국일보의 미래는 없다라는 조합원들의 절박한 심정을 회사는 지금이라도 헤아려야 할 것이다./ 언론노보 한국일보투쟁특보(2001.7.23)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