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부터, 이용택 강철구씨 심판 조합원 2600명 서명언론노조 KBS본부 조합원들이 8대 집행부 이용택(전위원장), 강철구씨(전부위원장)에 대한 탄핵투표를 15일부터 일주일간 실시하고 있다. 언론노조는 강철구씨에 대해 상습 성추행 혐의로 지난 5월10일 제6차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이용택씨에 대해서는 창사기념품 선정과정에서의 압력행사 등의 책임을 물어 지난 7월12일 제9차 중앙집행위원회에서 각각 조합원 자격을 박탈했다. 그러나 두 사람은 언론노조의 징계를 받아들이지 않은 채 사실상 위원장 부위원장 권한행사를 계속 하며 사측이 조합원의 권익을 불이익하게 변경하는데 동의하는 등 해노행위를 하고 있어 결국 탄핵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언론노조는 KBS 본부 대의원 119명이 서명발의하고, 조합원 2,560명이 서명한 임시총회 소집요구에 대해 이규현 전주지부장에게 권한을 위임했다. 임시총회에서의 탄핵투표는 15일부터 사흘간 부재자투표, 18일부터 이틀간 본투표가 실시된다. KBS 본부 조합원들은 탄핵안이 통과되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 이달 하순께부터 임금 및 단체협상에 대한 교섭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용택 강철구씨에 대한 탄핵안은 두사람이 자초했다는 지적이 많다. 두사람은 상습 성추행 혐의와 부당한 압력행사로 노조 집행부로서 도덕성에 치명적 타격을 받은 것 외에 학자금, 인사문제, 임금체계 등 조합원에게 불이익이 돌아갈 민감한 문제에 대해 사측에게 굴복했기 때문. 학자금의 경우 지급에서 융자로 사실상 폐지하는데 동의했으며, 일정기간 승진 또는 보직이 안되면 대기발령할 수 있는 보직연한제, 연봉제의 전단계라 할 직급별 호봉제 도입을 묵인했다. 특히 이런 사측과의 합의는 자체 노보를 통해 '학자금 등 조합원 불이익 변경 불가' 방침을 밝힌 직후에 나온 것이어서 조합원들을 더욱 분노케 하고 있다. 일부 조합원들은 "회사 안팎의 압력으로 더이상 버티기가 어렵게 되자 사측으로부터 노조집행부 지위를 용인 받기 위해 학자금을 희생양으로 삼은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조합원들을 기만한 행위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 언론노보 314호(2001.10.17)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