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개혁 핵심사업 언론노조 1년 걸쳐 연구서 완성 광고-판매 7:3 왜곡구조 해소 연간 1600억 추가수익 상반기 순회설명회 이어 이달중 실무팀 구성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언론개혁운동의 핵심 사업으로 언론사 소유지분을 제한하는 신문개혁법(정기간행물법) 개정운동과 함께 여론의 독과점을 방지하고 언론사 경영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동배달제도의 도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언론노조가 세종대 허행량 교수에 의뢰해 지난해 9월 착수한 '신문공동배달제 도입을 위한 연구보고서'가 14개월만인 지난 10일 완성됐다. 보고서는 1차 신문판매지국 운영에 관한 실태조사결과 분석, 2차 배달과 판촉의 분리를 통한 신문판매시장의 합리화에 이어 3차 공동배달제를 통한 언론경영개선연구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보고서는 먼저 배달과 판촉을 분리하되, 예컨대 10개의 신문을 10개 지국에서 각각 배달하는 현행체계에서 우체국과 같은 개념의 공동배달회사를 설립, 10개의 신문을 1곳에서 배달하는 전문시스템을 갖추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경우 1조3300억원 규모의 한국신문배달시장에서 조선 중앙 동아 등 이른바 '빅3'를 제외한 나머지 17개 신문사가 공배제에 참여할 경우 기존 지국의 영업수익 1900억원(본사 40%, 지국 60%) 외에 87%에 달하는 1648억원의 추가수익을 거둘 수 있다고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공동보급소 1개의 영업이익은 매달평균 1060만원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허 교수는 이번 3차 보고서에서 △신문사별 배달비용의 절감폭이 30%에 달하며 △배달망이 현재 700여개에서 1300여개로 확대되는 효과를 가져오고 △판매시장 정비를 통해 유가부수가 20만부이면 흑자가 가능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또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여론을 전달함으로써 '여론의 광케이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여론의 독과점을 방지하고 사이비 언론의 퇴출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 언론노조는 이같은 내용의 보고서가 완성됨에 따라 올 상반기 대한매일 경향 문화 국민 한겨레 세계일보 노사와 함께 순회 설명회를 가진데 이어 이달 중으로 실무추진팀을 꾸려 중앙지는 물론 지방사 스포츠지 경제 영자신문을 포괄한 광범위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신문공동배달제도는 국고의 지원을 받아 노르웨이 독일 프알스 등 많은 선진국에서 시행중이다./ 언론노보 316호(2001.11.14)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