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대오로 대중적 신문개혁운동 정면돌파명칭 규정 조합비 등 체제재편 미비 한계도일 년이 지났다. '언론사에서 무슨 산별'이냐는 객관적인 평가와 그 어떤 물적 조건도 없이 전국언론노조는 창립되었고 돌아볼 겨를도 없이 다시 일 년을 달려왔다. 산별에게 2001년은 어떤 시간이었나? 산별노조의 위력이 조금이나마 다가왔고 산별노조의 무진장한 가능성에 대해 그 단초를 열었다는 점, 이것이다. 전국언론노동조합, 언론 산별은 우리가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이다. 자본주의 발달과정과 역사적 배경이 판이한 서구 산별은 참고할 수 있을 뿐이며, 우리는 한국의 산별노조-언론노조-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숱한 혼란과 반발,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으며 그것들은 자체로 완성된 산별을 만드는 거름이 될 것이다. 올해는 신문개혁투쟁의 원년이었고 언론노조는 그 투쟁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지난 해 12월 정간법 개정 촉구를 위한 명동성당 농성에서부터 3월 신문개혁국민행동 출범, 6월 총력투쟁, 7월∼12월 마당극 공연, 10월 신문개혁 자전거 행진 등 쉼없이 전개된 신문개혁투쟁은 단언컨대 산별 조직전환 없이는 불가능한 사업들이었다. 산별 전환을 위한 1999∼2000년에 걸친 내부 조직활성화 없이 어떻게 가능했겠는가. 또한 올해 투쟁은 지난 시기의 일회성(토론회, 성명서, 청원) 신문개혁투쟁과는 질적으로 다른 대중투쟁을 끌어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급속도로 쇠퇴하거나 자사 이기주의에 빠져 있던 신문 조직을 이끌어낸 것은 신문노조의 역할과 위상을 제고했고 안으로부터의 개혁을 추동하는 계기를 만들어 냈다. 우리는 신문개혁투쟁을 통해 언론개혁이 우리 사회 최고의 개혁과제임을 부각시켰고 이는 결국 우리 사회민주화의 큰 진전을 의미한다. 산별 조직체계의 정비 또한 나름의 성과를 진전시키고 있다. 6월 언론노조 총력투쟁 당시 통일된 T셔츠로 광화문에서 명동성당을 누빈 것은 대단한 장관이었다. 그리고 11월 23일 창립 1주년 기념식장에서 통일된 모든 지부 깃발이 선보였다. 통일된 현판도 제작이 끝났다. 각 지부별 회의·공문 양식도 하나가 되어 가고 있다. '우리는 하나'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교섭역량도 커지고 있다. 자문 변호사, 자문 노무사가 선임되었고 사무처 역량도 배가되었다. 한국일보지부와 광주매일지부 문제가 남아 있긴 하나 교육방송지부, 경인방송지부, 전주방송지부, 경남신문지부, sbs미디어넷지부 등의 교섭에서는 주목할만한 성과를 남겼다. 그 밖의 지부도 산별이 직접 교섭에 간여하지는 않았으나 무형의 힘으로 작용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산별노조로서의 다양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무늬만 산별'이다. 아직도 조직의 명칭을 기업별노조로 쓰고 있는 데가 태반이다. 남들이 자기 이름 잘못 부르면 기분 나쁜 법이다. 이름부터 바로 쓰자. 규정 제정을 미루고 있는 지부도 2/3이상이다. 산별노조의 출범으로 기업별노조 규약은 사문화 되었다. 언론노조 규약에 기초해 해당 지부 규정을 제정해야 한다. 조합비 또한 통일되지 않고 있다. 기본급 1%를 내고 있는 조합원이 있고 총액 1%를 납부하는 조합원도 있다. 언론노조 규약대로 통일하자. 그래야 하나의 노조가 된다. 이것은 기본이다. 중앙 사무처의 역량강화도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신문개혁투쟁의 하중을 이유로 들 순 있으나 각 지부 임·단협에 대한 지원은 너무나 미미했다. 98년 IMF 이후 언론사의 노사관계도 일반 기업화하고 있고 오히려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 부분에 대한 특별한 고민이 필요하다. 산별노조 홍보책자와 간부용 교육자료집의 발간이 늦어지고 있는 점도 아쉬운 부분 중의 하나이다. 장기 과제로는 조직체계의 재편(기업지부에서 지역지부로) 문제와 조직확대(중소사업장, 비정규직) 문제(9.26 언론노보)가 놓여 있다. 이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며 하나의 문제이다. 함께 고민하자. 언론산별은 지금부터다.박강호(언론노조 부위원장) / 언론노보 317호(2001.11.28) 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