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임 22개월 동안 5개월마다 PP사업자 선정문제 정치자금 불법조성 디지털 비교실험 거부지상파재전송 문제지역방송협의회가 김정기 방송위원장 퇴진투쟁에 돌입함에 따라 김 위원장은 재임 22개월 동안 4차례의 퇴진요구에 부딪치는 오명을 안게 됐다.특히 이같은 퇴진요구의 이유가 대부분 방송위의 생명이라 할 수 있는 정치적 독립성과 공정성 시비와 맞물려 있어, 김 위원장은 '독립기구 초대 방송위원장'이라는 명예 대신, 5개월마다 방송 노동자의 시위대를 맞아야 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첫 퇴진투쟁은 지난해 10월 위성방송사업자 선정기준 마련·PP사업자 선정 문제로 불거졌다. 언론노련은 당시 제31차 집행위를 열어 '방송위가 심사결과를 무시하고 국민일보 조희준 씨에게 연예오락프로그램 PP사업 허가를 내주고, 위성방송사업자 선정기준 마련에서도 재벌과 외국자본에 특혜를 부여한 점'을 들어 퇴진투쟁을 결의했었다.지난 2월에도 언론노조는 '김정기 위원장이 정치자금 불법 조성 등을 목적으로 개인판공비 수백만원을 유용했다'면서 즉각 사퇴를 촉구했다.이어 지난 3월에는 방송위 출범 1년을 맞아 언론노조·언개연·방송위지부 등이 방송위의 정치적 독립 퇴행 등을 이유로 일제히 김정기 퇴진 성명을 발표했다. 김 위원장은 당시 디지털방송방식 비교실험 실시요구를 묵살하고 MBC방문진 이사 선임 과정에서 특혜의혹을 사며 사내·외의 퇴진압력을 받아왔다.김 위원장은 또 최근 들어 지상파 위성재전송과 관련 지역방송협의회의 반발을 사며 네 번째 퇴진요구에 직면했다. 언론계 안팎에서는 '김정기 위원장의 무소신과 시류편승이 오늘날 방송위의 위기를 낳았다'며 '김 위원장의 퇴진만이 방송위 독립성과 공익성, 공정성을 지킬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는 뼈아픈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언론노보 318호(2001.12.12) 1면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