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사설의 미국관련 논조 분석 조선일보가 미국을 보는 눈은 좀 유별나다. 다른 신문들이 입을 열 때 침묵하기도 하고 또 같은 사안을 두고 다른 신문과 엇박자를 친다. 소신 있는 태도로 평가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나만이 옳다는 식의 독선으로 비춰지기 십상이다. 지난주 국내 언론들은 미국과 관련된 굵직한 이슈들을 잇달아 보도했다. 주한미군의 용산기지내 아파트 신축, 미국 무역규제위원회(ITC)의 수입철강 규제, 그리고 미국의 탄도탄 요격 미사일 제한 협정(ABM)탈퇴 등 3건이 그 것이다. 신문들은 해설기사와 함께 사설을 통해 일제히 이들 이슈에 대한 문제점과 미국의 태도가 부당함을 지적하고 나섰다. 용산기지 아파트 문제를 첫 보도한 동아일보는 '용산기지 아파트 NO라고 말하라'는 제하의 사설에서 " 이미 91년 한국에 반환하기로 약속한 땅"임을 상기시키며 "(정부가) 안 된다는 분명한 답변을 빨리 (미국 측에)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일보는 주한미군의 요구에 대해 "주권 국가의 자존심을 무시한 행태로 여기는 국민이 많을 것"이라며 "동반자 관계를 과거로 되돌리려는 오만한 발상"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다른 신문들의 논조도 모두 비슷했다. 국내 10개 종합일간지 중 9곳이 사설을 통해 주한미군측에 반환약속 준수를 촉구하는 한편 정부에는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했던 것이다. 이후 정부의 허용방침과 주미대사관 이전과 관련 특혜요구가 보도되자 한겨레 등 몇몇 신문들은 미국의 요구에 대한 부당함을 다시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조선일보 만은 이 문제에 대해 침묵했다. 조선일보가 이 문제를 외면한 배경이 무엇이든지 간에, 시민단체들의 용산아파트 반대운동이 확산되고 있음을 생각해 보면 국민 정서와 동떨어져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미국ABM 탈퇴-------------------------------------------------------- 조선일보 | 미, 신냉전으로 가려나(15일) -------------------------------------------------------- 동아일보 | -------------------------------------------------------- 한국일보 | 불안예고하는 ABM탈퇴(14일) -------------------------------------------------------- 중앙일보 | 미 ABM탈퇴와 군비경쟁 우려(15일) -------------------------------------------------------- 한 겨 레 | 우려되는 미국 일방주의의 가속화(14일) -------------------------------------------------------- 경향신문 | -------------------------------------------------------- 문화일보 | -------------------------------------------------------- 국민일보 | 미국의 독주 너무 심하다(14일)-------------------------------------------------------- 대한매일 | 미국 ABM탈퇴의 충격(14일) -------------------------------------------------------- 세계일보 | 우려되는 군비경쟁(14일) --------------------------------------------------------* 용산기지 아파트 신설-------------------------------------------------------- 조선일보 | -------------------------------------------------------- 동아일보 | 용산기지 아파트 no라고 말하라(11일)-------------------------------------------------------- 한국일보 | 미군 아파트 용산 안 된다(15일) | 용산기지 아파트 못 짓는다(10일) -------------------------------------------------------- 중앙일보 | 용산미군기지 아파트 안 된다(10일) -------------------------------------------------------- 한 겨 레 | 용산기지 반환 않을 생각인가(10일) | 어느 나라 국방부인가(14일) | 미국 대사관 특혜요구 무례하다(15일)-------------------------------------------------------- 경향신문 | 용산기지에 아파트 신축이라니(10일) | 헷갈리는 용산아파트 대책(14일) -------------------------------------------------------- 문화일보 | 미군 용산 떠날 생각 있는가(10일) -------------------------------------------------------- 국민일보 | 미군아파트 절대 안된다(10일) | 미군이 한다면 뭐든 다 하나(15일) -------------------------------------------------------- 대한매일 | 용산 미군아파트 절대 안돼(10일) -------------------------------------------------------- 세계일보 | 용산기지 이전 약속 지켜라(10일) | 미군아파트 허용방침 이라니(14일) --------------------------------------------------------* 미국 수입철강 규제-------------------------------------------------------- 조선일보 | -------------------------------------------------------- 동아일보 | -------------------------------------------------------- 한국일보 | 유감스런 미 ITC권고안(10일) -------------------------------------------------------- 중앙일보 | -------------------------------------------------------- 한 겨 레 | -------------------------------------------------------- 경향신문 | 미 철강규제 적극대응해야(10일)-------------------------------------------------------- 문화일보 | 미국 철강수입제한 안된다(10일)-------------------------------------------------------- 국민일보 | -------------------------------------------------------- 대한매일 | 미국의 부당한 철강규제(11일) -------------------------------------------------------- 세계일보 | -------------------------------------------------------- 이러한 조선일보의 태도는 미국의 수입철강 규제 움직임을 보도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국내 철강산업의 큰 피해가 예상된다는 점에서 신문들은 사설을 통해 우려를 표시하면서 미국측의 부당한 논리를 비판했다. 한국일보는 "자국 산업의 구조적 문제를 외국을 향해 힘의 논리로 풀겠다는 것"이라며 미국의 태도는 "가까스로 성사된 뉴라운드 협상 출범에도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경향신문도 이 문제가 "미국이 앞장서 주창해온 자유무역 정신을 스스로 위배했다는 점에서 유감스런 일"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문화일보와 대한매일도 같은 논조를 폈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역시 말이 없었다. 다른 신문보다 하루 이틀 늦게 10일자 경제면 하단에 스트레이트 기사만 싣었을 뿐, 사설을 통한 의견 제시는 없었다. 꼭 해야 할 말을 하지 않았던 조선일보는 미국의 ABM탈퇴를 보도하면서는 말은 하되 딴 말을 했다. 표에서 보듯이 대부분의 신문들은 사설을 통해 미국이 ABM을 탈퇴함으로써 군비경쟁 등 많은 부작용이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는 "부시행정부의 국제사회에서의 독주 행태에 전 세계는 물론 미국 내 민주당과 진보적 지식인들이 우려와 불안을 표시하고 있다"며 군비확산경쟁이 촉발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다른 신문들 역시 미국의 행동에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며 우려를 표시했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달랐다. 조선일보는 "러시아와 중국이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신국제질서를 인정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향후 남북관계의 전개도 이 같은 맥락을 전제로 해야 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미국에 대한 러시아와 중국의 반응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는 논외로 하더라도 앞으로 남북관계도 미국이 주도하는 신국제질서에 순응해야 한다는 식의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냉엄한 국제현실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주권국가의 언론이 할 말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 같은 조선일보의 논조는 지난달 26일 부시대통령이 북한의 대량파괴무기에 대한 검증을 촉구했을 때의 사설과도 맥을 같이한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성과를 거둔 미국이 확전의지를 표명하고 그 대상 중 하나로 북한이 거론되고 있는 시점에서 부시의 대북 경고는 국내 언론의 큰 주목을 받았다. 이에 대다수 신문들이 한결같이 한반도에 미칠 악영향을 경계하는 한편 북한에 대한 사찰은 협상을 통해 해결할 일이지 무력을 앞세운 방식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달랐다. 남북대화를 통한 해결에 회의적이었기에 "(정부는) 미국의 움직임에 적극 동참해야"고 주장했던 것이다. 독자들은 사설이라는 창을 통해 세상을 본다. 또한 신문사설은 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느 기사 못지 않게 사설의 공정성이 강조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국민의 생각과 동떨어진 시각으로 여론을 왜곡시키고 심지어 국민의 눈을 가리는 신문의 논조를 경계한다.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