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개혁 화두 대중에 폭넓게 확산 - 신문개혁국민행동 1년을 돌아보며 올해는 신문개혁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성과들을 남겼다. 정간법 개정과 세무조사 등을 요구하며 명동성당 농성과 국세청 시위 등으로 대중운동의 시발을 건 2000년을 보내며 맞은 2001년은 대통령의 부적절한 발언과 이를 빌미로 한 족벌신문들의 생떼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득을 얻었다. 무엇보다도 전국의 443개 시민사회종교단체들이 신문개혁의 대의에 동참했다는 사실은 성과 중의 성과다. 사람들은 정간법 개정이라는 목표에 한치도 진전하지 못한 점을 들어 구체적인 성과가 없어 아쉽다고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정간법 개정과 관련하여 진전이 있으리라고는 기대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간법 개정의 여부와 관계없이 신문개혁은 장기적인 투쟁을 요구하는 과제이며, 그 대장정의 대오에 든든한 동지들이 규합되었다는 것 이상으로 더 중요한 성과는 없을 것이다. 이제 언론개혁은 언론운동단체들만의 과제가 아닌 전체 시민사회의 과제로 확실하게 부상한 것이다. 신문개혁에 대해서는 밖에서 훈수만 하다가 어찌하여 중심으로 진입했지만, 외람되나마 내가 기대했던 방향으로 진행되어 온 데 대해 다행스럽게 여기는 편이다. 연구와 토론, 국회청원 등의 얌전한 방식으로는 신문개혁이 요원할 것이라고 보고 작년 전반기부터 문제 제기를 시작했었다. 대중적 압력이 광범위하게 조직되지 않으면 메아리 없는 자족적 이벤트에 그치고 말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언론운동진영 내부가 술렁였고 급기야 농성 등의 실력행사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 결과 얻어낸 것이 신문고시 제정과 세무조사였던 것이다. 정부가 세무조사를 실시하자 시민단체들이 나서서 어쩌고저쩌고 하는 족벌신문과 그 이데올로그들의 주장은 궤변이었다. 세무조사와 언론개혁을 둘러싼 지식인집단의 커밍 아웃은 뜻하지 않았던 성과다. 이 역시 줄 세우기 강요니 지식사회의 위기니 하며 둘러댔지만 명백한 역사의 진전이다. 과거에 군사독재와 족벌신문들은 기회주의적 지식인들을 한 줄로 세우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침묵을 강요했다. 하여 대다수 지식인들이 말을 잊어버렸다. 그 오랜 시간이 경과한 후 언론개혁이 화두가 되면서 침묵했던 양심적 지식인들이 비로소 말을 찾은 것이다. 이것은 줄 세우기도 아니요 위기도 아닌 지식인의 정체성 회복이요 정상적인 사회과정으로의 진입을 의미한다. 다른 주제도 아닌 언론개혁을 화두로 하여 이 같은 바람직한 현상이 일어났는데 어찌 진전이 없었다고 할 것인가. 이제 언론개혁은 두고두고 사회적인 쟁점이 될 것이고 대중적 조직기반은 큰 힘으로 작용할 것이다. 성유보 본부장을 비롯하여 신문개혁국민행동을 조직하고 이끈 최문순 언론노조 위원장, 최민희 민언련 사무총장 등의 공로는 길이 기억될 것이다. 김동민(신문개혁국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 언론노보 319호(2001.12.28) 3면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