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진영 단일후보" 재창당 활기 민주노동당 민주노총 전국연합 등 5개단체 원칙 합의 '사회당' '노동자의 힘' 연대가 과제 지난 5일 민주노총 등 5개 진보단체 지도부가 공동 선언문을 통해 올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단일 진보정당 창당에 대해 원칙적 합의를 이끌어낸 가운데 민주노총 내부와 여타 진보세력들의 논의가 무성하다. 민주노총 민주노동당 전국연합 전국빈민연합 한총련 등 5개 단체 지도부는 지난 5일 합동수련회에서 이같은 원칙에 합의했다. 국내 진보진영이 선거를 앞두고 단일세력 구성에 합의한 것은 지난 91년 이후 10년만에 처음이어서 올 선거에서 제도권 진입여부가 주목된다. 이들 단체는 △신자유주의 반대 △반전 반미 조국통일운동 △진보세력을 총망라한 전국민중연대 결성 △강력한 진보정당 건설 등을 결의했다. 이번 합의로 민주노동당은 재창당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단일정당 성사여부는 오는 30일 열릴 민주노총 정기대의원대회에서 2002년 정치방침의 결의 방향과 전국농민회총연맹 사회당 등 이번 합의에 함께 하지 못한 진보세력들의 향배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민주노총은 지난달 21일 중집위와 중앙위에서 2002년 지방선거 후보선출 방침과 관련 '민주노총 후보가 될 조합원은 민주노동당을 통해 출마한다'는 원칙을 제시했으나 '정치사상의 자유에 반하며 특정지역의 경우 현장투쟁에서 연대의 주체인 사회당 등 여타 진보정당으로 출마한 조합원도 민주노총 후보가 될 수 있어야 한다'는 이견이 나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전농은 원칙적 수준의 공감을 표했으나 아직 민주노동당 재창당에 조직적 참여를 결정하지 않았다. 사회당은 민주노동당과의 대표회담, 통합을 위한 진지한 논의 등 3개항의 조건부 통합논의를 전제로 민주노동당과 접촉을 시작했다. 그러나 사회당은 "당 개방에 있어 조선노동당을 추종하는 세력과는 함께 하지 않을 것"이라는 원칙을 제시해 민주노동당과의 완전 통합보다는 낮은 단계의 연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노동자의 힘'은 지난 8일 5개 진보단체의 공동선언문에 대한 논평을 통해 "모든 진보세력을 모으려는 전국민중연대 결성이 대중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합의가 전국연합 한총련 등 특정조직의 입장을 대중적 논의 없이 대표자 선언의 형식으로 발표해 진보진영 전체에 혼란과 불신을 낳았다"며 반박하고 있다. 한편 5개 진보단체들은 양대 선거를 놓고 자치연대 여성민우회 한국노총 등 9개 시민단체와 공동후보 정책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이정호 언론노조 정책부장>/ 언론노보 320호(2002.1.12) 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