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2월 총파업 "주5일근무 노동자 요구 즉각 수용" 정부 수정안 후퇴 재계 입장만 대변 현 정부 불신임 투표결과로 힘을 얻은 민주노총이 다음달 국회의 노동조건 개악을 전제로 한 주5일 근무제 통과에 따른 총파업을 결의했다. 민주노총은 '총파업을 포함한 총력투쟁'이라는 당초 어정쩡한 태도를 넘어 "주5일 근무제 도입 관련 노동계의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2월 임시국회 때 '정치총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지난달 20일, 21일 중집과 중앙위를 잇따라 열어 정부의 개정안이 공익안 보다 후퇴한데다 연간 실질 노동시간을 2000시간 이내로 줄인다는 당초의 취지와 달리 탄력적 근로시간제 확대와 도입시기를 지연시키는 등 재계의 입장만 대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11월부터 벌여온 현정권의 노동정책에 대한 신임투표 결과 전체 60만 조합원 중 절반이 넘는 30만8천여명이 투표에 임하는 성과에 힘입어 이번 총파업을 임단협이나 현안을 병행시킨 총력투쟁이란 낮은 단계를 벗어나 공격적인 정치파업으로 규정했다. 민주노총은 각 연맹 사무처장단을 중심으로 총파업 상황실을 운영하는 한편 11일부터 29일까지 지도부가 전국을 순회한 뒤 오는 30일 정기대의원대회와 비상 노조대표자회의를 통해 뜻을 모으기로 했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중소영세 비정규 노동자의 희생 없는 주5일제 도입이란 목표를 위해 노정교섭을 적극 추진하고 여의치 않을 때 파업의 시작과 끝을 분명히 하는 집중력 높은 투쟁으로 요구를 관철시키기로 했다./ 언론노보 320호(2002.1.12)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