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원 격차가 3년만에 1,600만원사측 요구에 유능 조합원 호응, 간부급부터 전직원 확대 A-B-C 3개 등급 나눠 정실인사 정리해고 조직간 반목 노조 2년 휴면 깨고 재출범 …조직재건에 한계 노출 ■ 언론사와 비슷한 A연구원의 연봉제 사례 이 연구원은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직원 대부분이 석사 이상이고 95년 전직원 평균 연봉 3천만원대로 재경 언론사와 비슷하다.이 연구원은 92년 정부의 임금 억제책 때문에 기본급 인상을 자제하고 각종 수당을 변칙인상해 임금을 보전해왔다. 젊은 연구진(조합원)들은 오랜 연공급 임금체계 속에서 근속년수 많은 간부들의 무사안일과 고임금에 불만이 많아 임금체계 개편을 내심 요구했다.93년 11월에 전면 연봉제가 아닌 차등성과급제를 노사합의로 도입했다. 부연구위원 이상에게만 적용했고 A, B, C로 나눠 총액 3만원씩 차별하고 A, C의 수를 15%이하로 했다. 상징적 의미의 차등이었다.94년 임협에선 분기별 성과급제로 확대했다. 94년 연말 회사는 성과급이 남았다면서 A등급자에게 합의한 3만원의 격차보다 다소 많이 지급했다. 돈을 더 많이 주는 것에 대해 노조가 문제제기 하기는 곤란했다. 95년 들어 동료와 차액에 신경을 세우는 조합원이 생겨났다. 회사는 성과급 관련 정보를 독점했다. 일부 조합원은 연구결과에 대한 계량화와 평가기준의 객관성에 불만을 털어놨다. 그러나 A등급자들은 C등급자들 때문에 평균 성과 달성율이 낮아져 자기들이 더 많은 성과급을 못받고 있다며 공공연히 불만을 드러냈다. 이 속에서 노조는 조합원의 무관심으로 전임자를 내지 못해 활동이 정지됐다. 96년 들어 회사는 2년간 3회 이상 C등급을 받은 자를 면직시킨다고 발표한 뒤 실제 2명을 정리해고 했다. 97년에 이르러 회사는 A, C등급 인원조차 철저히 비밀에 붙였고 A, C 등급의 분기별 임금차가 2백만원이란 소문도 돌았다. 직원들은 누가 평가의 실세인지 줄 대기에 바빴다. 연구 기획단계부터 높은 평가를 받는데 유리한 방향으로 선회했다. 연구현장(노동현장)을 자율적으로 통제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97년 11월 노조는 2년의 휴면을 깨고 재출범했다. 그러나 위축된 연구 분위기는 지금도 쉽게 극복되지 않고 있다./ 언론노보 321호(2002.1.26) 3면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