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투쟁 13만명 파업기간산업 민영화 저지 큰 성과집행부 탄압 맞서 투쟁 장기화민주노총 2월 투쟁이 철도, 가스, 발전노조 등 기간산업 3사의 공동파업을 중심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당초 예정됐던 중소영세 노동자 희생없는 주5일 근무제 도입요구는 국회파행으로 인해 상정이 보류됨에 따라 투쟁력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26일 현대, 기아자동차 등 금속과 공공사업장을 중심으로 13만명의 연대파업을 통해 기간 3사의 투쟁을 지원하는 한편 당초 내걸었던 기간산업의 무분별한 민영화 저지반대투쟁을 이어갔다. 철도의 경우 '민영화 문제는 단협사항이 될 수 없다'고 버텨온 정부와 사용자들의 양보를 받아내 '민영화 문제를 협의한다'고 합의했다. 그러나 발전노조가 9일째 파업 장기국면에 들어갔고 철도쪽도 복귀 이후 위원장을 포함 16명이 경찰에 연행됐고 183명의 노조간부가 사측으로부터 고소당해 사실상 투쟁이 계속되고 있다.민주노총은 김대중 정부의 민영화 일변도 정책의 폐해를 고발하고 국가기간산업을 외국자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6일 발전노조와 함께 명동성당 농성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7일에도 투쟁본부 대표자회의를 개최하는 등 상황실 체제를 계속 유지키로 했다.민주노총은 지난 26일에도 서울 부산 울산 등 22개 지역에서 6만명의 조합원이 모여 동시다발 거리집회를 열고 노동법 개악과 기간산업 민영화 저지를 위한 결의대회를 열었다.한편 정부는 지난 2000년 12월 13일 여야 합의로 전력산업구조개편촉진에 관한 법이 통과돼 발전소 매각은 법 집행이라며 교섭을 거부한채 파업중인 발전노조 간부 24명에 대한 체포영장과 검거전담반 편성, 52명 해고, 손해배상 청구, 조합비 가압류, 신규채용 공고를 내는 등 탄압 일변도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발전노조측은 "국회를 통과한 법은 한전을 분할매각하기 위한 법이지 발전소를 매각하는 법안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언론노보 324호(2002. 3. 6) 1면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