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발전 노조의 파업에 대한 언론 보도에서는 예전에 비해 감정적인 논조를 피하려는 시도가 비교적 엿보인다. 노동계를 일방적으로 불법·폭력집단으로 매도하고 무조건적인 파업 철회를 요구하는게 아니라 방만한 공기업 운영을 조장하고 노동계에 대한 적극적인 설득작업도 시도하지 않은 정부의 관료주의적인 행태도 비판하는 사설이나 기사들이 부분적으로 나타난다.그러나 사태의 현상만을 보여줄 뿐 그 배경과 원인, 해결방안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내놓지 못하는 우리 언론의 한계는 이번에도 크게 개선돼 보이지는 않는다.사실 파업에 따른 서민 불편과 경제계의 부담은 쉽게 기사화할 수 있다.그러나 이번 파업의 원인이라는 철도·발전의 민영화 계획에 대한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진단을 내려주는 보도는 찾아보기 어렵다. 우리 언론은 전문적인 지식과 종합적인 판단을 갖춘 보도를 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이 때문이다.예컨대 철도·발전의 민영화에 대해 ▶이들 공기업에 누적적자에 시달리게 된 방만한 운영의 원인과 ▶앞서서 민영화를 앞서서 추진한 해외 각국의 사례의 현재 상황 ▶민영화가 경제계와 일반 국민에 미치는 영향 ▶민영화 외의 해결 대안의 여부 ▶민영화에 따른 해고를 최소화할 안전장치의 마련 여부 등을 모두 밝혀주는 보도가 필요했다.물론 동아일보는 27일 4면 「철도 개혁안하면 2020년 부채 28조」에서 공기업 방만 경영을 자초한 정치권의 비전문 인사 영입을 중요 문제로 지적했다.중앙일보도 27일자 「철길을 살리자」 시리즈에서 융통성없는 경직된 운영으로 요금체계 개편이나 각종 수익사업 창안에서 뒤처지고 있는 우리 공기업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처방을 내는 등 일부 언론에서는 구조적인 분석을 시도하려 한 흔적이 보였다.그러나 대부분의 언론은 주로 원인과 배경에 대한 분석과 처방보다는 강경한 입장이라는 양대 노총의 개입으로 인한 협상의 난항과,파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지적하는데 더욱 주력했다.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각각 26일자 3면에서 「양 노총 뛰어들어 ‘春鬪 전초전’」,「양대노총 끼어들어 사태 더욱 꼬여」라고 노동계 지도부를 비판했다.중앙일보는 27일자 4면에서 「車3사 반짝 파업에 362억 손실」을 보도했다.동아일보는 또 26일 2면에서 「“노조 不法파업엔 타협없다”」를 통해 영국·일본·미국 정부의 초강경 파업 대응 사례만을 소개했다.이같은 보도가 파업 철회에는 도움을 줄 수 있을지 몰라도 과연 파업을 야기시켰던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언론이 사회적 갈등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려면 어떤 태도가 필요한지 다시 한번 생각할 시점이다.2002년 2월 27일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