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현직 언론인의 청와대 직행 구태는 사라져야 한다
현직 언론인이 또 다시 청와대로 직행했다. 언론과 현 정부 모두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부적절한 인사다. 당장 철회되어야 한다.
6일 청와대는 중앙일보 강민석 부국장을 청와대 대변인으로 임명했다. 김의겸 전 대변인과 윤도한 국민소통수석, 여현호 국정홍보비서관에 이어 이번 정부 들어서만 벌써 네 번째다.
청와대가 밝힌 강민석 부국장의 발탁 배경은 “오랫동안 언론 활동으로 다양한 경험을 쌓아 대국민 소통에 능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였다고 한다. 공허한 수사에 공감하기 어려운 맥락 연결이다. 더 큰 문제는 언론과 정치 []권력의 건강한 긴장 관계 훼손 논란이다. 현직에서 곧바로 청와대로 직행하는 인물의 경우, 언론을 사적 이익의 도구로 사용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다. 강민석 부국장은 불과 며칠 전까지 정론직필을 이야기하며, 신문 제작의 한 부분을 맡았었다.
문재인 정부는 이명박·박근혜 정권 당시 언론 장악 음모를 잘 알고 있고, 기회가 될 때마다 언론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강조했다.
물론 문재인 대통령은 현직 기자의 청와대 직행 논란에 대해 “그런 비판을 달게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 “언론 가운데 아주 공정한 언론인으로서 사명을 다한 이들이 청와대로 와서 공공성을 지켜 줄 수 있다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상적이지만 현실은 시쳇말로 진흙탕이다. 공공성 실현은 한두 명의 의지나 언술로 해결될 수 없다.
반면 박근혜 정권 때엔 언론과 정치 권력의 건강한 긴장 관계를 우려할 만한 일도 있었다. 2014년 당시 KBS문화부장이었던 민경욱 현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은 아침에 부장회의에 참석한 뒤 청와대대변인으로 직행했고, 정연국 당시 MBC 시사제작국장이 그의 뒤를 이었다. KBS와 MBC의 언론노동자들이 청와대의 언론 장악 음모에 맞서 힘든 싸움을 이어갈 때였다. 현직 기자의 청와대 직행은 어떤 이유도 명분이 될 수 없다. 단지 과거 정권의 모습을 떠올리게 할 뿐이다.
문재인 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 강민석 부국장의 청와대 대변인 임명을 철회해야 한다. 더 이상 현직 언론인이 청와대로 직행하는 인사는 사라져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정치 권력과 언론의 건강한 긴장은 물론 민주주의를 위하는 일이며, 그 자체로 공공성의 시작이다.
2020년 2월 7일
전국언론노동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