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KT 적폐 청산과 정상화, 더 이상 미뤄선 안 된다
- 여론조작 위해 댓글부대까지 운영한 사업자에게 국가기간통신 맡길 수 있는가?
KT(회장 황창규)에 바람 잘 날이 없다.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 사고로 인한 통신대란, 퇴직간부 하청업체 고위직 낙하산 논란 등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는데다, 급기야 ‘온라인 필진’이라는 ‘댓글부대’를 만들어 여론조작과 노조탄압에 개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17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KT는 2011년 우호적인 여론조성을 위해 직원들로 구성된 ‘여론대응 조직’을 만들어 운영했고, 이들은 포털과 신문 등에 한명 당 세 개 이상의 아이디를 만들어 KT에 우호적인 댓글을 달았다고 한다. 또 사측 관리자들이 노동조합 게시판에 직접 글을 올리기 위해 팀원들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보고받아 직접 글을 올리거나, 댓글조직의 여론조작 활동을 감시하며 그 평가를 상중하로 매겼던 것으로 드러났다. 참으로 충격적이다. 국가기간통신사업자가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여론조작, 부당노동행위를 조직적으로 자행한 것이다.
제보자인 KT 노무관리담당 퇴직자는 KT의 조직적인 여론개입을 “여론을 우호적으로 만들기 위해서였다. ‘경쟁 심화로 회사 사정 어려운데, 경영 방해 세력에 대해 응징해야 한다’, ‘반 케이티 세력들의 준동을 막아야 한다’, ‘회사 경영에 비판적인 기사를 반박해야 한다’ 등의 이유를 댔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다. 심지어 지금도 운영되느냐는 질문에 “모른다. 다만, 해보던 일이라서 지금도 케이티 관련 기사를 볼 때마다 댓글을 살펴보는데, 미뤄 짐작되는 것들도 많은 건 사실이다”며 의심을 거두지 않았다. 실제로 이석채 체제의 공공성 보다는 효율성을 앞세운 경영과 반노동, 충성경쟁 조직 문화는 황창규 체제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한다.
하지만 이번 사태에 대한 KT의 해명은 황당하기 짝이 없다. 이용자 국민 앞에 사죄하고 철저한 진상조사와 재발방지, 책임자 처벌을 약속해도 모자를 판에 이에 대해 KT와 황창규 회장 측은 “회사와 무관한 일”이라며 무책임한 답변만 내놓고 있다.
검찰은 KT에서 벌어진 여론조작 행위에 대해 즉시 수사에 돌입해 사태의 전모를 밝혀내고 이석채와 관련 책임자들을 엄벌해야 한다. 아울러 민주주의 파괴 행위가 현재에도 계속됐는지 철저히 조사해 국가기간통신사업자의 위법 행위에 철퇴를 내려야 한다. 불법을 일삼고 주주총회까지 사전에 모의해 주주들의 권리를 침해한 자들에게 국민의 통신 주권을 계속 맡길 수 없다.
KT의 정상화는 통신 공공성, 국민의 권익과 직결되는 중차대한 과제다. 그 첫 걸음은, 침묵과 책임 회피로 일관해 사회적 신뢰를 상실한 ‘황창규 체제의 청산’으로부터 시작돼야 한다. 끝.
2018년 12월 19일
전국언론노동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