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 강현두사장은 즉각 퇴진하라 오늘(24일)로 예정된 방송법 개정 국회 법안심사를 앞두고 한국디지털위성방송 KDB가 자신들의 이익만을 관철하기 위해 비이성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다. KDB는 22일부터 잇따라 전 중앙일간지에 전면광고를 통해 현재 진행중인 방송법개정 논의를 방송법 개악시도라고 왜곡하면서 대대적인 장외 여론전을 펼치고 있다. 논리의 허구적 부분은 여러 차례 지적돼 왔기에 다시 반복하지는 않겠다. 그러나 우리는 이 시점에서 KDB가 초기부터 이 문제에 대응해 왔던 방식에 대해 준렬히 책임을 묻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KDB는 여러 차례 위성방송 사업이 국책사업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또 실제로 KDB의 주요 주주들은 KT KBS MBC 국민주 등이다. 말하자면 국민 돈으로 사업하는 셈이다. 그렇다면 자신들은 국책사업을 수행하는 대단히 공익적 입장에 있는 셈이고 공적 사업자는 공적 사업자로서의 책무가 있다. 그러나 KDB가 지금까지 공적 사업자로서의 책임있는 문제해결 노력을 기울였다고 볼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번 광고만 하더라도 단지 일방적 주장을 앞세우기 위해 공적 자본금 수억원을 마구 탕진해도 되는 것인지 따지지 않을 수 없다. 어디 이것뿐인가. 사업권을 획득하면서 약속할 때 계획에도 없던 지상파 재송신을 느닷없이 실시하겠다고 뒤늦게 우긴 것은 누구였는가. 불 보듯 뻔한 파란을 알면서도 지역방송과 성실한 대화나 협의노력 한번 있었는가. KDB는 이 문제가 불거진 초기에도 대화 대신 거액을 쏟아 부은 신문 의견광고와 '관제성 장외집회'를 앞세워 애당초 힘겨루기로 가고자 했다. 이것이 국책사업자가 하는 공적 문제해결 방식인가. 우리는 이번 사태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김정기 전 방송위원장의 사퇴가 비록 뒤늦었지만 공인으로서의 최소한의 자세라고 본다. 그러나 KDB와 강현두사장은 지금까지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망발을 거듭하고 있다. 파국의 끝을 알면서도 사태를 강경으로 몰아가고 있는 강현두사장은 혹여 부실투성이 위성방송의 난맥상을 의도적으로 감추기 위해 지상파재전송 문제를 국면전환용으로 삼으려는 속셈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그러기엔 지역방송의 위기와 매체간 균형발전이라는 과제가 너무 중차대하다. 최근 위성방송의 총체적 난맥상과 부실실태, 각종 비리의혹이 방송가에 확산되고 있음을 우리도 잘 알고 있다. 특히 강사장과 주변 인사들에 대한 여러 의혹도 제기되고 있는 터에 문제가 곪아터지기 전에 강사장은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 이번 사태의 해결은 책임있는 사람이 모두 물러나고 방송계 인적 쇄신이 뒤따른 후 합리적인 인사들에 의해 마무리돼야 한다. 만일 강현두 사장이 스스로 퇴진하지 않을 경우, '국책사업' 위성방송의 난맥상에 대한 책임을 철저히 가리겠다는 것을 엄중히 경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