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개혁쟁취 전국언론노동조합 총력투쟁 선언문우리 언론노동자는 오늘 신문개혁 쟁취를 위한 총력투쟁에 나섰다.신문개혁은 이제 그 당위성을 넘어 시대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신문개혁이 이 시대 절박한 과제로 부각된 데는 언론인 우리 자신은 물론 각 언론사 사주, 정부와 국회 등 우리사회 전 영역에 그 책임이 있다.우리 언론인은 지난 50여년의 현대사에서 언론인 본연의 역할을 충실하게 해왔는가를 자문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오랜기간 권위주의 사회체제 아래서 고개를 숙여왔고, 아직도 권력과 자본을 향해 당당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바로 오늘 우리가 이 자리에서 신문개혁을 외치고 있는 이유도 이러한 우리의 '원죄'를 씻기 위해서다.언론사와 그 사주는 어떠한가. 많은 언론사들은 과거 수십년간 정통성이 없는 권력과 결탁, 독재의 하수인이라는 오명을 받아왔다. 독재정권이 종식된 뒤에는 상업주의에 파묻혀 언론 본연의 역할을 방기하고 있다.이 과정에서 언론의 사유화가 급속하게 진전, 급기야 '족벌언론' '언론족벌'이라는 치욕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언론사간의 치열한 경쟁이 탈법적 관행으로 굳어지면서 시장이 왜곡되고 있다. 무소불위의 언론사는 오만과 독선으로 독자들을 우롱하고 있다.특히 일부 언론사의 경우 권력에 아부, 도저히 언론사라 할 수 없는 추한 상황을 연출하고 있으며 무능한 언론인이 경영권을 장악, 언론인들의 사기는 물론 언론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지경까지 만들어 놓고 있다.이것이 우리가 언론의 사유화 중지, 공동배달제를 통한 왜곡된 시장구조 개선, 무능경영인 퇴진을 주장하는 이유다.이러한 작금의 현실을 만들어낸데는 정부와 국회 등도 자유로울 수 없다. 언론은 사적 기업이기에 앞서 사회적 공기(公器)이다. 그동안 우리가 정기간행물법을 개정하고, 공정한 룰을 만드는데 국가기관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던 근거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국회나 정부 모두 이러한 역할을 위해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 더욱이 그동안 정부가 대주주로 있던 언론사들이 소유구조를 개편, 불편부당한 언론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에 대해서도 묵묵부답하고 있다.우리는 6월 13일 한국언론운동사상 처음으로 전국의 신문 노동자들이 '참 언론' 실현을 위해 연대투쟁에 나선다. 이제 우리는 개혁의 대상으로 전락한 한국언론의 노동자로서 국민과 독자에 대한 스스로의 부끄러움을 떨쳐내고자 한다. 또 사회정의를 향한 언론의 역할을 회복하기 위해 신문개혁의 주체세력으로 나설 것임을 당당하게 선언한다.우리의 요구1. 대한매일 연합뉴스의 소유구조를 개편하라.1. 신문공동배달제를 실시하라.1. 언론사유화를 포기하고 무능경영진은 퇴진하라.1. 정기간행물법을 개정하라.1. 언론사 세무조사 결과를 공개하라.2001년 6월 13일전국언론노동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