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언론 '노동자 때리기' 막가나산자부, 보도자료에 버젓이 촌지계획…언론, 방일취재 뒤 엉뚱하게 노조비판정부가 화물연대 파업과 관련한 보도자료를 내면서 공공연하게 관련 협회의 '촌지' 지원 사실을 밝히는가 하면, 또 일부 기자들은 외국 자동차회사가 주최한 선심성 외유를 다녀온 뒤 엉뚱하게 노조비판 보도를 내보내는 일이 벌어지고 있어 정부와 언론인들의 윤리의식 불감증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산업자원부는 지난달 27일 이메일을 통해 각 출입기자들에게 발송한 <시멘트업계 BCT 운송거부 무력화, 시멘트운송 정상화 발표> 제하의 보도참고자료에 <화물연대 운송거부 대책추진>이란 별첨자료를 첨부했다.모두 7쪽으로 구성된 이 대책 문건은 한국양회공업협회가 화물연대 파업장기화에 대비해 지난달 20일부터 파업종료 때까지 협회의 상무이사를 팀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팀을 구성, 대언론 홍보업무를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이 자료에 따르면 관련 소요예산은 모두 4억 700만원으로, 이 가운데 언론대책 추진에 드는 비용만 3억 5,900만원을 차지하고 있어 주로 언론플레이를 위해 태스크포스팀이 구성됐음을 짐작케 하고 있다.더군다나 이 문건에는 △기자 취재지원비 600만원(30만원씩 일간지·경제지 기자 20명) △간친회비 400만원 △신문광고 3억 4,900만원(4대 경제지·5대 일간지 대상) 등을 적시하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문건에서 밝힌 기자 취재지원비는 사실상 '촌지'를 일컫는 것으로 해석되며, 간친회비도 기자들에게 회식비나 술값 지원 등 '향응제공'을 목적으로 한 예산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이같은 사실은 산자부로부터 이메일을 받은 한 신문사 기자의 제보로 알려지게 됐다. 산자부는 보도자료 끝 부분에 관련 협회의 발표문을 첨부하려다 실수로 문제의 대책문건을 첨부해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자부는 다음날인 28일 홈페이지에는 대책문건 부분을 뺐다.한편, 경향 동아 문화 중앙 한국 등 주요 일간지와 연합뉴스 자동차 담당기자들은 최근 일본자동차회사인 도요타의 초청으로 지난달 21일부터 25일까지 4박 5일 동안 선심성 방일취재를 다녀온 뒤 해당 회사의 홍보기사를 쏟아냈는가 하면, 일부 신문은 엉뚱하게 현대, 기아 등 국내 자동차회사 노조를 비판하는 보도를 게재해 물의를 빚고 있다.특히 조선일보는 <"도요타, 경제여파 감안 2년째 동결"> 제하의 오기소 도요타코리아 사장과의 인터뷰 기사에서 최근 타결된 현대차노조의 경영참여를 비판했고, 동아일보는 <고객 제일주의…"파업은 옛날얘기"> 제하의 보도에서 정작 도요타의 성공비결로 지적되고 있는 장기고용 부분은 축소보도한 뒤 '50년 무파업'에만 초점을 맞췄다. 일부 기자는 기자수첩 등을 통해 도요타의 또다른 성공비결인 '노동자 최고 대우'는 외면한 채 국내 자동차 노동자들의 고임금을 비판하기도 했다.도요타는 9월 2일 서울에서 계획된 자사 신모델 신차 발표회를 앞두고 한국의 자동차담당 기자들을 대거 일본 본사로 초청했고, 자사 차량 이용고객도 초청해 자선골프대회나 드라이빙 스쿨 등 다양한 판촉전을 펼쳤다.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