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디지털 방송 미국식 결정 백지화 촉구 각계인사 150인 선언 ▣ 일시 : 2002년 8월 21일 오전 11시 ▣ 장소 : 안국동 참여연대 느티나무 카페 ▣ 주최 : 디지털TV 방송방식 변경을 위한 소비자운동 각계 인사 150인 선언!! DTV 미국식 결정 백지화 촉구 8월 21일 기자회견에서 지상파 DTV정책 재수립과 방송주권 확립을 위한 7대 국민요구안 천명 각계인사 150명이 디지털 지상파 방송정책 재수립과 국민의 방송주권 확립을 위한 7대 국민요구안을 천명하고, '지상파 DTV의 미국식 방송방식 전면 백지화'를 강력하게 촉구한다. DTV소비자운동은 8월 21일(수) 오전 11시 안국동 참여연대 느티나무에서 <국민의 방송주권 확립 위한 7대 요구 - 디지털 방송 미국식 결정의 백지화 촉구 사회각계 인사 150인 선언> 기자회견을 개최한다. DTV 소비자운동은 이 날 기자회견에서, 그동안 1인 시위를 통해 다져온 조직역량을 확대·발전시켜, 연내에 디지털 방송 미국식 결정을 백지화하고 지상파 디지털 방송정책을 재결정하도록 하기 위해 △국회 국정감사/감사원 시민감사 청구 등 법적 대응 △정당·대통령후보의 연내 재결정 결단 촉구 △대국민 홍보 강화 등 강도 높은 운동전개를 천명할 예정이다. 이날 발표되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정책 재수립과 국민의 방송주권 확립을 위한 '7대 국민 요구안'>은 현재 정부의 디지털 지상파방송정책이 △결정과정의 정당성과 민주성 결여 △시청자 편의 무시 △미국방식의 주파수 자원상의 비효율성과 국민 비용부담 과다 △거시적 방송산업 고려 부족 △통일 방송정책 미고려 등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7대 국민요구안'으로 △미국식 방식 전면 백지화 △사회적 합의 도출 때까지 현 DTV 방송 서비스 중지 △개선작업중인 미국방식의 실상 공개 △국민의 방송주권 확립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범정부 차원의 각계 참여 DTV 방송 관련 위원회 구성 △9월 정기국회에 (가칭)'디지털 지상파 방송 정책 수립을 위한 특위' 설치 등을 제시한다. 특히 각 정당들과 제16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하는 후보들에게 요구안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적극 수용해 "지상파 DTV 방송방식을 연내에 재결정하고 실질적인 국민의 방송주권확립 및 방송의 공익성 구현을 위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일 것을 촉구한다. 그동안 DTV 소비자운동은 △모든 지상파 방송사의 노동조합 △모든 직능단체 △40여 개 시청자단체·소비자단체·종교단체 등 시민사회단체들의 대표 및 활동가들이 참여하는 '정통부 앞 1인 시위'를 벌여왔다. 또 현 미국식 방송방식이 기술적인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문화의 발전 △정보사회의 적응성 △수신기 가격 △다양한 서비스 △매체간 수신기의 통합 △정보격차의 해소 등에 있어서도 디지털시대에 걸맞지 않는 퇴행적 방식이라며 변경을 촉구해 왔다. DTV 소비자운동은 '1인 시위 1백일'을 맞아 8월 28일(수)에 "디지털 방송 미국식 결정 '즉각' 백지화! 국민 위한 지상파 방송정책 '연내' 재수립"를 위해 <디지털 전송방식 '조속' 변경 강력 촉구 결의대회>(12시, 국회 앞)와 <방송주권 회복을 위한 국민대토론회>(오후 2시 30분, 국회도서관 대강당)를 개최한다. 8월 28일(수) <디지털 전송방식 '조속' 변경 강력 촉구 결의대회>(12시, 국회 앞)와 <방송주권 회복을 위한 국민대토론회>(오후 2시 30분, 국회도서관 대강당) 보도자료는 23일에 나갑니다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