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당선자, ‘지역언론 취재거부’ 말고 ○○○부터 하라
윤석열 당선자가 민심을 듣겠다고 지역을 순회하면서 정작 ‘보안·경호상’의 이유로 지역언론의 취재를 거부했다. 지역언론 무시를 넘어 당선자의 언론관을 ‘상상(?)’할 수 있는 터라 여러 우려가 나온다.
그간 당선자의 말과 행동은 이런 우려를 더욱 부추긴다.
후보 시절 공약집에는 “민주주의 근간인 언론의 자유를 보호·신장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더니, 선거 직전에는 언론노조와 언론인들을 정권의 ‘거짓 공작을 일삼는 전위대'라 칭하며 망언을 일삼았다. 당선 뒤에는 비판 보도를 했던 언론사들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출입을 막기도 했다.
이쯤 되면 당선자가 잘못된 언론관을 가진 게 아니라, 언론관이 없는 사람처럼 여겨진다. 별생각이 없는 상태니, 언론의 비판과 폭로엔 망언으로, 취재하겠다는 지역언론사엔 거부로 대응하는 것일까.
당선자 시절, 벌써 이런 행태라면 대통령이 된 뒤에는 어떨까. 쓴소리하는 언론사에는 소송과 제재로 입을 막고 취재를 거부하며, 대통령 마음에 안 드는 기사는 내리라 전화를 걸지 않는다고 누가 믿을 수 있을까. 앞선 보수 이명박근혜 정권 때 자행된 편집권·편성권 침해, 낙하산 사장 꽂기 등 언론 장악 사태가 반복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당부한다. 언론관이 없다면 행동하기에 앞서 공부하라. 지역언론을 만나 취재를 거부하기 이전에, 지역 자치와 민주주의의 발전에 지역언론의 역할이 얼마나 중한지 공부하라. 지역균형발전은 인수위에 지역균형발전특위를 설치한다고, 지역에 쇼핑몰을 유치한다고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지역언론들이 어떤 상황에 놓여있고, 이를 위해 어떤 지원 방안이 필요한지부터 살펴라. 포털 체제에서 지역민의 알권리가 제한되고 있지는 않은지,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재원은 부족하지 않은지, 건설·토호자본의 지역언론사 무차별 인수 앞에 지역 언론노동자의 자존감과 지역 공론장의 자유가 훼손되지는 않는지를 걱정하라. 그게 지역언론 취재거부 전에 챙길 일이다.
당선자는 지금이라도 자신의 공약집에 새긴 “민주주의의 근간인 언론의 자유”를 위해 지역언론을 포함해 언론인과 제대로 소통하고 설명하라. 언론노조는 당선자가 지금이라도 언론의 정당한 취재·보도행위에 당당히 응하기를 기대한다.
2022년 4월 21일
전국언론노동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