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억 예산 쓰는 서울 계도지 어떻게 개선할까
언론노조·민언련·전신노협 ‘문제 제기’ 공감
‘경남·부산·전북지역 계도지 폐지 사례 공유’
자치구 의지 담은 조례 제정에 한 목소리
‘바우처 활용’ 시민 미디어 구독모델 실험 필요

1일 전국언론노동조합 회의실에서 ‘서울지역 계도지 체제 개선을 위한 집담회'가 열렸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상임대표와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의 인사말로 시작한 집담회는 전대식 언론노조 수석부위원장의 진행으로 장슬기 미디어오늘 기자, 이용성 민주언론시민연합 정책자문위원장, 이준형 언론노조 정책전문위원 등이 발표자로 참여했다. 

계도지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취재해온 장슬기 미디어오늘 기자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계도지 예산이 도합 116억원에 달하는데, 이 예산이 구청장 홍보 예산처럼 쓰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장 기자는 서울신문 지배 구조 변경 후에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등이 적극적으로 계도지 예산 배정을 노리고 각 자치구에 접근하고 있는 등의 최근 현황을 공유했다.

이용성 민언련 정책자문위원장은 지역신문조례와 계도지 개혁에 관한 발언을 이어갔다. 2000년대 초반의 계도지 예산 철폐 운동과 지역신문법 제정 논의과정에서 전국적으로 계도지 예산이 폐지되었으나, 서울시와 강원권에는 계도지 체제가 잔존하게 되었다. 2010년대에 서울시의회 단위에서도 지역신문조례 제정과 더불어 계도지를 폐지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서울시가 아닌 자치구 단위에서 계도지가 남아있는 등의 이유로 여의치 않았다. 이용성 위원장은 서울시에 건강한 지역신문들이 많지 않은 점 등 어려움이 있음에도 서울시 자치구 단위에서 계도지 개혁을 위한 조례 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으로 발언을 마쳤다. 

이준형 언론노조 정책전문위원은 계도지 예산을 발전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디어 바우처' 아이디어를 차용한 ‘시민 미디어 접근권' 실험을 해보자는 제안을 내놓았다. 계도지 체제가 지역 언론으로 하여금 자치구를 독자로 여기게 만든다면, 바우처 제도를 통해 시민의 미디어 구독을 지원하는 이 실험은 지역 언론에게 ‘진지한 지역 시민 독자'를 확보하게 해준다는 제안이었다. 이준형 위원은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자치구 단위의 미디어 지원 조례 설치가 쉽지는 않겠지만, 가능한 자치구 단위에서부터 선례를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날 집담회에 함께한 조성은 전신노협 의장과 김인 서신노협 의장 등 언론노조 신문조직 대표자들은 ‘계도지 체제 개선이라는 명제에 공감하며, 각 사업장의 현실 인식들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더 있기를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전대식 수석부위원장은 "이번 집담회가 앞으로 계도지 체제 개선을 위한 의견과 제안들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로서 지속되어야 한다"며 후속 행사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 사진자료 ☞ https://bit.ly/3C5tTrb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