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중재위, 이진숙·추경호 7월 발언 끌어 쓴 보도 조정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실천위원회 보고서 2024-1

 지난 7월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인사 청문회와 방송법 개정안 국회 의결을 두고 되풀이된 ‘언론노조 방송 장악’ 주장을 끌어 쓴 동아닷컴·아시아투데이·머니투데이가 기사 삭제와 반론 보도 책임을 졌다. 앞서 같은 내용을 보도한 뉴시스는 방송법 개정안에 없는 공영방송 이사진 증원 관련 문구를 ‘바로잡는 반론’을 기존 기사에 붙여 넣었다.

 지난 15일 언론중재위원회 서울제5중재부는 2024년 7월 26일 자 아시아투데이 <이진숙, 민노총 언론노조 저격 “힘에 의한 지배··· 후배들 좌지우지”> 기사를 두고 “언론노조는 ‘MBC (2012년 170일) 파업과 관련해 후배들을 좌지우지하거나 사실상 힘에 의한 지배를 한 적이 없다’고 알려 왔다”는 반론 보도를 내도록 조정했다.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이진숙이 “민주노총 언론노조가 (MBC를) 사실상 힘에 의한 지배를 하고” 있고 “노조 상층부가 사실상 후배들을 거의 좌지우지하고 있다”고 말한 걸 사실 확인이나 반론 보장 없이 보도해 언론노조에 입힌 명예 훼손 피해를 얼마간 돌이킬 수 있게 한 것.

 아시아투데이는 10월 22일까지 이 같은 반론 보도문을 아시아투데이닷컴 ‘정치’면 기사 목록 상단 세 번째 안에 24시간 동안 고정해 내야 한다. 그 뒤로는 기사 데이터베이스에 반론 보도를 보관해 인터넷에서 계속 검색되게 해야 한다. 해당 기사 아래에도 반론 보도문을 이어 붙여 계속 알아볼 수 있게 해야 한다.  

 같은 날 보도된 <[파이낸스투데이 영상 뉴스] 이진숙, 민노총 언론노조 만행 대폭로 “언론노조 언론 장악 심각”>은 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 불성립한 것. “민주노총 조합원이 압도적으로 MBC를 좌지우지, 힘에 의한 지배를 하고” 있고 “민노총 언론노조가, 노조의 지배 계층, 상층부가 사실상 후배들을 좌지우지한다”는 이진숙 발언을 끌어 썼되 기사 제목을 <언론노조 만행 대폭로 “언론노조 언론 장악 심각”>으로 편집해 악의를 품었다.

 파이낸스투데이 쪽에선 “제목은 (인사 청문회) 영상을 요약한 것일 뿐”이라고 강변했으나 해당 영상 어디에도 ‘언론노조 언론 장악이 심각하다’는 발언이 없었다. 언론중재위원회 서울제5중재부는 이를 바탕으로 삼아 기사 제목을 <[파이낸스투데이 영상 뉴스] 이진숙 “민노총 언론노조가 MBC 좌지우지”>로 바꿀 것을 권고했다. 특히 기사 아래쪽 끝에 “이 기사의 제목은 언론중재위원회 조정에 따라 수정된 것”이라는 문구를 넣도록 함께 권고했다.

 파이낸스투데이 쪽에선 언론중재위 권고를 받아들일 뜻을 밝혔으나 전국언론노동조합은 거부했다. ‘언론노조 방송 장악’ 타령을 거듭해 온 파이낸스투데이 책임을 묻는 손해 배상 소송을 검토할 계획이다.

 

기존 기사에 ‘사실 확인 반론’ 보탠 뉴시스


 

 지난 7월 30일 ‘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방송통신위원회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국회에서 의결된 뒤 뉴시스는 국민의힘 쪽 반응을 <추경호, 방송4법 통과에 “대통령 재의 요구 건의… 악법 중 악법”>에 담아 전했다. 국민의힘 원내대표 추경호가 “방송 장악 4법은 문재인 정권이 민주노총 언론노조와 함께 장악했던 공영방송을 영원히 민주당 손아귀에 쥐겠다는 악법 중 악법”이라고 말했다는 것. 특히 “KBS, MBC, EBS 이사회 규모를 늘리고 그 아래 민주노총 언론노조 인사들로 채워 공영방송 이사회를 민주당 마음대로 구성하겠다는 검은 속내를 국민들은 이미 다 알고 있다”는 추경호 발언을 끌어 썼다.

 보도와 달리 방송법 개정안에는 언론노조가 공영방송 이사를 추천하거나 임명할 수 있는 권한이 전혀 담겨 있지 않았다. 개정 법률안 내용을 확인해 보지 않은 채 낸 보도였다. 언론노조 쪽 반론조차 보장하지 않았다. 뉴시스는 이런 지적을 받아들여 기사 아래쪽 끝에 ‘한편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추 원내대표 발언과 관련해 “방송4법 내에 공영방송 이사진 규모를 늘려 언론노조 인사로 채울 수 있는 법률안이나 규정은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는 언론노조 반론을 보탰다. 

 

뉴시스 보도 전재한 동아닷컴은 기사 ‘삭제’

 

 2024년 7월 30일 자 뉴시스 <추경호, 방송4법 통과에 “대통령 재의 요구 건의… 악법 중 악법”> 보도를 전재한 동아닷컴은 기사 전체를 삭제했다.

 아무런 사실 확인이나 반론 보장 없이 뉴시스 기사를 그대로 옮겨 실은 책임을 진 것. 언론중재위원회 서울제5중재부가 한 삭제 권유를 받아들였다.

 

머니투데이, 정정 버금갈 반론 보도

 

 2024년 7월 30일 <추경호, 野 방송4법 강행, 대통령 재의 요구 건의할 것”>이라는 제목으로 “KBS, MBC, EBS 이사회 규모를 늘리고 그 안에 민주노총 언론노조 인사들로 채워 공영방송 이사회를 더불어민주당 마음대로 구성하겠다는 검은 속내를 국민은 다 알고 있고, 방송 장악 4법은 문재인 정권이 민주노총 언론노조와 함께 장악했던 공영방송을 영원히 민주당 손아귀에 쥐겠다는 악법 중 악법”이라는 추경호 발언을 알린 머니투데이는 정정에 버금갈 반론 보도를 냈다.

 16일 <추경호, 野 방송4법 강행, 대통령 재의 요구 건의할 것”> 기사 아래쪽 끝에 “전국언론노동조합은 ‘KBS·MBC·EBS 이사진 규모를 늘려 언론노조 인사로 채울 수 있는 방송법 개정 법률안이나 관련 규정이 전혀 없으며, 전국언론노동조합은 문재인 정권과 함께 공영방송을 장악한 적이 전혀 없다’고 밝혀 왔다”는 반론 보도문을 붙여 넣었다. 언론중재위원회 서울제8중재부 조정에 따라 2024년 10월 21일 18:00까지 머니투데이 홈페이지 ‘정치’면 기사 목록 상단 다섯 번째 안에 ‘반론 보도’를 따로 내 48시간 동안 고정해야 한다. 그 뒤로도 인터넷에서 계속 찾아볼 수 있게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해야 하고, 조정 대상 기사 아래쪽 끝 반론 보도도 마찬가지이다.

 

<표> 이진숙·추경호 발언 관련 언론중재위원회 조정 결과

매체

내용

경과

파이낸스투데이

○ 2024년 7월 26일 자

○ ‘뉴스일반’면에 <[파이낸스투데이 영상 뉴스] 이진숙, 민노총 언론노조 만행 대폭로 “언론노조 언론 장악 심각”> 보도

 

○ “민주노총 조합원이 압도적으로 MBC를 좌지우지, 힘에 의한 지배를 하고” 있고 “민노총 언론노조가, 노조의 지배 계층, 상층부가 사실상 후배들을 좌지우지한다”고 보도.

언론중재위에 정정·반론·손배 조정 신청.

9월 24일 10:00 언론중재위 서울제5중재부가 제목을 <[파이낸스투데이 영상 뉴스] 이진숙 “민노총 언론노조가 MBC 좌지우지”>로 바꾸고, 기사 하단에 “이 기사의 제목은 언론중재위원회 조정에 따라 수정된 것입니다” 문구를 넣도록 권고해 피신청인이 받아들였음.

결과는 불성립. (*언중위 제안과 권고 정도로 멈출 수 없어 중재부에 “불성립 결론을 내 달라”고 신청인이 요구. 소송 검토. )   

아시아투데이

○ 2024년 7월 26일 자

○ <이진숙, 민노총 언론노조 저격 “힘에 의한 지배… 후배들 좌지우지”> 보도

○ 이진숙 “민주노총 언론노조가 사실상 (MBC를) 힘에 의한 지배를 하고 있다”, “노조 상층부가 사실상 후배들을 거의 좌지우지하고 있다”고 말해.

언론중재위에 정정 조정 신청. 10월 15일 10:00 조정 기일. 언론중재위 서울제5중재부 조정으로 ‘반론 보도’ 합의.

동아닷컴

○ 2024년 7월 30일 자

○ <추경호, 방송4법 통과에 “대통령 재의 요구 건의… 악법 중 악법”> 보도

 

○ 국민의힘 추경호 “방송 장악 4법은 문재인 정권이 민노총 언론노조와 한편이 돼 장악했던 공영방송을 영구적으로 민주당 손아귀에 쥐겠다는 악법 중에 악법”이라고 발언.

언론중재위에 정정·반론 조정 신청. 9월 24일 10:40 언론중재위 서울제5중재부 조정으로 기사 ‘삭제’.

뉴시스

○ 2024년 7월 30일 자

○ <추경호, 방송4법 통과에 “대통령 재의 요구 건의… 악법 중 악법”>과 <방송4법 거부권 공방… 여 “공영방송 손아귀 쥐겠다는 악법 중 악법” 야 “거부하면 독재 정권 말로의 길”> 보도

○ 국민의힘 추경호 발언 보도 원천. 

기사 끝에 [한편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추 원내대표 발언과 관련해 "'방송4법' 내에 공영방송 이사진 규모를 늘려 언론노조 인사로 채울 수 있는 법률안이나 규정은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고 반영.

머니투데이

○ 2024년 7월 30일 자

○ <추경호, 야 방송4법 강행, 대통령 재의 요구 건의할 것”> 보도

○ 추경호 “KBS, MBC, EBS 이사회 규모를 늘리고 그 안에 민주노총 언론노조 인사들로 채워 공영방송 이사회를 더불어민주당 마음대로 구성하겠다는 검은 속내를 국민은 다 알고 있”고 “방송 장악 4법은 문재인 정권이 민주노총 언론노조와 함께 장악했던 공영방송을 영원히 민주당 손아귀에 쥐겠다는 악법 중 악법”이라고 말해.

언론중재위에 정정·반론 조정 신청. 

*피신청인, 언론중재위 조정 전에 언론노조가 요구한 내용을 모두 담아 ‘반론’ 보도를 낼 의사 있다고 밝힘.

2024년 10월 15일 10:30 언론중재위 서울제8중재부 조정으로 ‘반론 보도’ 합의.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