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소문과 허위를 진실처럼 보도
정론 외면한 옐로저널리즘 만연
1. 1월 16일과 17일 스카이데일리 ‘중국인 99명 압송’ 보도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260217)
▴2025년 1월 17일 자 스카이데일리 1면
지난 1월 16일 스카이데일리가 ‘지난해 12월 3일 한국 계엄군이 미군과 공동 작전’을 벌여 붙잡은 ‘중국인 간첩 99명을 일본 오키나와 미군 기지로 압송했다’고 전했지만 사실로 확인된 게 전혀 없는 보도였다. 이튿날 ━ 1월 17일 ━ 스카이데일리 종이 신문 1면에도 같은 기사를 게재했되 <국내 체포 中 간첩 99명 “한미 부정선거 개입”>이라고 제목을 바꿔 달았다. 기사에는 관련 내용이 새로 담기지 않아 제목을 잘못 단 것으로 보였다.
한미 군 ‘공동 작전’이 확인됐고, ‘선거 개입 혐의 일체 자백’이 드러났다고 썼으나 근거를 내보이지 않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쪽에 ‘중국인 간첩 99명’ 실체를 물어본 자취도 없다.
뉴스 기본 요건을 전혀 갖추지 못한 것. 허위 사실 적시에 따른 명예 훼손 책임을 면하기 어려운 보도이자 ‘부정 선거’ 미망에 빠진 윤석열을 두둔하려는 기사로 읽혔다.
2. 1월 16일 스카이데일리 기사 받아쓰기한 파이낸스투데이 보도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3475)
1월 16일 자 스카이데일리 ‘중국인 99명 압송’ 보도를 받아쓰기했다. 허위로 의심되는 내용을 그대로 옮겨 쓰면서 사실 확인 취재를 하지 않은 건 드문 일. 파이낸스투데이 매체 품위를 스스로 저버렸다. 스카이데일리가 보도한 내용을 그대로 옮겨 썼을 뿐이라 해서 허위 사실 적시에 따른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도 없다.
특히 지난해 12월 26일 파이낸스투데이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을 찾아간 내용을 덧붙였는데 “만약······중략······가설이 사실이고 이들이 체포돼 이미 연행된 것이 사실이라면 그 후폭풍은 상상할 수도 없다”고 썼다. 보도에 담긴 여러 시점과 관련 내용이 뒤엉켰다. ‘만약’과 ‘가설’과 ‘후폭풍’ 같은 낱말을 스트레이트 보도에 담아 기사 작성 기초에서도 크게 벗어났다.
매체를 ‘감정 쓰레기장’처럼 이용하면 곤란하다.
3. 1월 11일 매일신문 ‘유튜버 신혜식’ 인터뷰
(https://www.imaeil.com/page/view/2025011119170155314)
지난 1946년 3월 1일 창간해 79년째 일간 신문을 발행해 온 매일신문이 유튜버 신혜식과 어깨를 나란히 한 보도였다. “추운 날씨에도 무엇이 매일 이 자리(윤석열 지지 집회 단상)에 서게 하는지”를 묻고, 신혜식 답변을 독자에게 전했다.
신혜식에게 마이크를 주고 그가 말한 그대로를 ‘단독’ 표시와 함께 알린 것. 윤석열을 옹호하는 유튜버 신혜식 주장과 매일신문 편집 방향이 같다고 인정한 셈이다.
4. 1월 15일 ‘윤석열 대변’한 아시아투데이 사설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15010008275&ref=section_top)
신문 사설이라기보다 윤석열과 국민의힘 ‘대변(代辯)’에 가까웠다. 지난 1월 15일 윤석열이 체포되며 남긴 궤변과 변명에 힘을 보탰고, 대법원 판결로 이미 검증이 끝난 부정 선거 망상까지 부추겼다.
2,762자나 되는 윤석열 옹호 일색 글이 매체 대표 논설인 ‘사설’이어서 더욱 무색했다. 논설도 사실에 바탕을 두고 엄격히 검증해 가며 써야 한다. 1월 15일 자 아시아투데이 사설은 논설로 보기 어려운 수준이다.
5. 1월 31일 익명과 따옴표에 기댄 조선일보 ‘헌재’ 보도
▴2025년 1월 31일 자 조선일보 8면
재판관 ‘정치 편향 논란’을 앞세웠지만 근거를 익명과 따옴표에 숨긴 ‘은근한 편파·왜곡’ 보도였다. 헌법재판소법에 따라 국회 인사 청문을 거쳐 임명된 재판관이 헌법에 비춰 ‘윤석열 탄핵이 옳은지를 따질 뿐’인 상황을 두고 다툼 여지가 있는 것처럼 몰아갔다.
몰아간 쪽이 국민의힘 주장과 같아 편파 기사로 읽혔다. ‘한 헌법학자’·‘법조계 한 인사’·‘한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같은 익명 발언 서술도 ‘정치 편향 논란’이 마땅한 것처럼 진실을 왜곡하는 도구로 쓰였다.
같은 날 1면으로부터 8면에 이어 쓴 <다른 탄핵 사건은 놔두고··· ‘尹 탄핵’만 속도>를 헌재 ‘정치 편향 논란’ 보도 아래에 붙여 편집한 것도 매한가지. 윤석열 탄핵 심판과 한덕수(총리)·박성재(법무부장관)·조지호(경찰청장)·최재해(감사원장)·이창수(서울중앙지검장) 탄핵 재판 속도에 ‘형평’을 견준 나머지 내란 옹호 편파로 읽혔다.
2025년 2월 3일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실천위원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