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정권 왜곡된 소유구조 20년 째97년대선 독립성보장 공약 '공염불'관제사장 퇴진운동 언론개혁 시작우리는 왜 파업투쟁에 나섰나...「언론은 권력으로 부터 독립해야 한다」연합뉴스 노동조합의 투쟁은 이런 간단한 명제에서 출발했다. 지난 8월 김종철 전 연합뉴스 사장이 개인 비리로 불명예퇴진한 뒤 정부는 지난 22일 연합뉴스의 대주주인 KBS와 MBC를 동원해 주주총회 시간을 1시간30분 앞당기는 사상 초유의 편법 날치기로 한겨레 논설주간 출신인 김근씨를 신임 사장에 앉혔다.이에 맞서 연합 노조는 즉시 사장실 농성과 김근씨 출근저지 투쟁에 들어갔으며 9월26일 조합원들의 압도적 지지로 파업을 결의, 연합뉴스 독립성 쟁취를 위한 강력한 투쟁의 기치를 높이 들었다.이같이 국내 유일 종합통신사인 연합뉴스의 사장 임명에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 것은 지난 80년 이른바 신군부에 의해 합동(두산그룹)과 동양(쌍용그룹) 등 양대 통신사가 각종 군소통신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연합통신(98년 12월 연합뉴스로 개명)이 출범했기 때문이다,출범당시 자본금 13억원으로 주식의 51%를 신문.방송협회 회원사가 출자하고 나머지 49%는 절반씩 옛 합동.동양통신사가 현물출자하는 것으로 충당했다. 그후 합동.동양통신사의 현물출자분은 정부가 83년2월 다시 KBS와 MBC가 각각 3억원씩 강제 인수케 함으로써 방송사의 지분율이 74.5%로 늘어났다.이후 정부는 1대 주주인 KBS 등을 통해 연합뉴스의 대주주권을 간접적으로 행사, 친여성향의 인사를 연합뉴스 사장에 임명해왔다.이런 연합뉴스 소유구조의 문제점을 인식한 김대중 대통령은 지난 97년 대선 공약을 통해 "정부소유인 서울신문과 연합통신의 독립성을 보장하겠다"고 분명히 국민앞에 약속했다.하지만 김대중 정부는 집권 후 지금까지 공약 이행은 커녕 지난 98년 연합뉴스 노사가 합의해 입법청원한 소유구조 개혁법안인 통신언론진흥회법안도 철저히 외면했다물론 이런 잘못된 소유구조를 개편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이 부족했다는 점은 스스로 인정하며 반성한다.그러나 우리는 80년 신군부의 최대 피해자인 김대중 대통령이 신군부에 의해 만들어진 연합뉴스의 왜곡된 소유구조의 틀을 빌어 자신의 뜻을 잘 헤아려줬던 인사를밀어부친 데 대해 실망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연합 노조가 투쟁에 나선 것은 이런 가장 비민주적이고 비개혁적인 관제사장 임명구도를 혁파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언론이 권력으로 독립하지 않고는 언론개혁이 이뤄질 수 없다. 그래서 연합뉴스의 소유구조 개편을 통한 독립성 확보는 바로 언론개혁의 출발점인 것이다. / 언론노보 연합뉴스투쟁특보(2000.10.2) 2면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