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개혁 - 4 : 언론족벌 개혁과제대중매체로서의 한국 언론, 그 중에서도 세습족벌신문은 한국국민이 100여 년에 걸쳐 겪고 있는 정치 경제 사회의 억압적 지배구조와 맞물려있는, 아니 이 모든 영역까지도 포괄하여 지휘통제하는, 반민중적 성향의 권력과 자산계층의 독점적 지배체제로서 막중한 위력을 발휘하여 왔다. 물론 일부 민주언론 성격의 예외는 있지만 전반적인 언론의 대세는 앞에서 지적한대로 부당한 권력자와 부정한 자산가 중심의 계급적 사상적 세몰이에 겁을 먹고 공동체 성원 모두가 권리와 이익의 침해를 받아도 할말을 못하고 억울함을 참을 수밖에 없는 편파언론의 몽둥이에 시달려왔다. 이와같이 깡패식 폭력언론의 망동이 가능하게 된 역사적 배경은 침략외세의 폭력적 약탈과 사상통제, 교육 및 언론·종교에 의한 종속세력 양성에 있다. 우리 사회 언론지배역사의 시작을 구체적으로 따져보자. 우선 81년 전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일제 식민지배하에서 일제의 필요에 따라, 다시 말하면 일본어가 서툴던 시기에 조선어 신문을 통해 압제자들의 명령과 지시를 신속히 집행하며 솟구치고 있던 근로민중의 반일기세를 탐지하여 폭력적으로 처치하려는 염탐의 덫으로 활용하려는 음모에서 탄생하게 된다. 이 신문들의 당시의 친일충성과 항일 독립 방해죄과들은 그들이 만들어놓은 신문지면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8·15를 맞자 이들 반민족 반민중 언론 경영자들은 다른 분야의 친일파들과 함께 생존과 자산몰수의 위협에 직면하여 전전긍긍하기도 했으나 일제와 유사한 지배세력이 된 미점령군의 보호로 위기에서 벗어났고 그 시혜의 반대 급부로 또다른 친외세 반민중적 언론이력 쌓기에 사명감을 가지고 매진하게 되었다.이로써 친일 ·친미 언론의 사상적 성향과 횡포는 뚜렷해졌다. 대륙과 반도의 강토를 차지하려는 침탈해양세가 좋아하고 언론소유자 자신들과 이해를 함께 하는 공동체내의 권력·자산가들이 바라는 대로 기사를 쓰는 일이었다. 권력자와 자산가들 역시 지배외세와 결탁하여 언론과 서로 물질 경제적으로 옹호 지원하는 한동아리였고 따라서 이와 같은 편짜기는 결국 공동체의 생존과 문화창조의 에너지원(源)을 생산 공급해야할 근로민중의 피와 땀을 함께 직간접으로 수탈하고 자유 평등 민주적 권익 요구를 억압하는 방향으로 기사와 논설이라는 언론의 몽둥이를 휘두를 수밖에 없게 되었다. 애당초 조선·동아 두 신문이 태어난 것도 러시아 민중이 봉건절대군주정을 타도하고 자주 평등사회 혁명에 성공하고(1917년) 2년 후인 1919년 한반도의 민중이 식민지 철권통치하의 폭압을 뚫고 독립만세 시위를 벌이는데 놀란 일제가 부랴부랴 식민지 근로민중의 용감한 항일투쟁 기세를 꺾기위해 이이제이(以夷制夷)의 모략정책으로 꾸며낸 민중 억압과 기만 설득의 앞잡이로 내세워진 도구로서였다. 그들은 80년간 출생의 숙명과 과업을 차질없이 수행하기 위해 일제 총독의 구호에 맞추어 매일매일의 지면을 통해 반공선전과 협박에 의해 근로민중을 주눅들게 하여왔고, 그것은 결국 조국분단과 반북, 반통일의 사상장벽을 높이높이 쌓아올려 부모형제 살상전쟁과 생이별의 피눈물을 반세기가 넘도록 흘리게 했을 뿐만 아니라 일제시기의 만주이민부터 따진다면 훨씬 더 오랜동안 침략외세를 위해 민족동포를 적으로 대하거나 희생시키는 일에 혁혁한 공적을 세움으로써 그들자신의 주장대로 군국주의 일본왕에 대한 “보도보국(報道報國)의 지성(至誠)”을 다하였던 것이다. 해방후 자치정부 수립 후에도 미국의 비호하에 친일파세력은 독점적으로 3권을 장악한 가운데 제4, 제5부의 권력이라 할 수 있는 언론과 교육계에서도 앞의 두 신문집단은 이 나라의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전 영역을 지휘 통솔하는 사상인도와 교육의 지도자로서 사실상 통치자의 위력을 구사하여 왔다. 그들은 자신들의 반역적 존재를 징치하려는 주장을 반공협박과 자본주의적 자유기업과 시장논리를 내세움으로써 국내외의 강력한 사상적 비호세력의 연합된 힘과 논리를 배경으로 불러내어 거세어지는 서민대중의 각성과 도전을 막아왔다. 이제 그들의 반민중 반공동체적 성향의 신문제작을 막는 길은, 몇 퍼센트의 자본지분 제한 주장이나 사원지주제 또는 국민지주제로의 자체변신 주장만으로는 백년하청의 메아리가 될 것인즉, 언론사 안팎의 전국민적 민주언론 각성운동과 함께 족벌세습언론사와 후속 재벌언론사들의 1세기에 걸친 반민중적 죄악상을 그들 자신들의 오랜동안의 신문지면 내용 공개를 통해 폭로하는 적극적이고 조직적인 정체 밝히기 운동을 전개하는 방법에 의해 보다 더 넓게 열릴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노동자와 농어민 대표까지도 참여하는 모든 산업계 종사자들의 권익주장이 골고루 수렴, 균형있게 공표될 수 있는 엄정중립의 "평화를 위한 언론 공익기구"의 창설에 의한 엄격한 보도 감시로 가진자와 힘있는자 중심의 편파적이고 사악한 신문과 방송 내용을 진실 공정하고 균형있는 내용으로 바꾸어 나가도록 유도하여야 될 것이다.이와같은 언론계의 변혁은 이 분야만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우리는 무수히 경험해왔다. 인류사회가 경험한바 있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양체제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사회복지주의의 이상과 철학과 실천경험에 따라 의사결정 및 입법체인 국회를 "산업별 인구비례대표제"로 제도 개혁하고 공동체내의 모든 생산조직에서 공동참여 경영정신을 균형 있게 키워나가며, 사법부도 사회성원 모두의 권익을 골고루 보장해주는 정의로운 원칙에 따라 판결을 내리는 명실상부한 민주재판의 주체로 탈바꿈하는 등 모든 영역에서의 정치·경제적 인간관계가 다 함께 공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광주대 언론광고학부 교수 박지동/ 언론노보 302호(2001.3.21) 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