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보건 사무 건설 서비스 등 전산업 동참민주노총 5-6월 임단협/대정부 투쟁 확정민주노총은 지난달 20일 제4차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5·6월 투쟁방침을 확정했다.민주노총은 오는 5월 31일 '투쟁선포식'을 통해 대정부 총력투쟁을 공식 선포하고, 이를 위해 단위 노조의 교섭을 중단, 다음달 3일까지 전간부 상경투쟁을 전개하기로 했다.민주노총은 이어 6월 12일을 '총력투쟁의 날'로 정하고 각 산별노조와 연맹의 임단협 투쟁 시기를 집중해 연대파업을 일궈낸다는 계획이다.민주노총은 공공연맹과 보건의료노조, 사무금융노련, 금속산업연맹, 건설산업연맹, 대학노조, 서비스연맹, 운송하역노조, 화학섬유연맹 등이 총력투쟁의 주요 동력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민주노총은 또 △신자유주의 반대 및 김대중 정권 퇴진 △비정규직 정규직화와 차별철폐 △임금 및 단체협상 투쟁 승리 △노동시간 단축과 주5일 근무제 실현 △공공의료 등 사회보장 확대 △NMD·TMD 반대 등 민족자주권 쟁취 등을 5·6월 총력투쟁의 목표로 정하고 이에 따른 세부일정 등은 산별대표자회의에서 결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민주노총은 이를 위해 인권과 민주주의, 노동, 경제정책, 통일·외교, 사회복지, 보건의료, 환경, 농업, 교육 등 9개 부문을 중심으로 김대중 정부 3년간의 실정을 폭로하는 토론회를 오는 20일 경에 주최하기로 했으며, 각 산별연맹의 공식 회의에 총연맹 위원장 등이 참석해 민주노총의 방침을 설명하며 투쟁을 독려하기로 결정했다.민주노총 단병호 위원장은 특히 정권퇴진 투쟁과 관련해 "최근 대우차 폭력진압 사태 등을 통해 김대중 정권의 실체가 적나라하게 드러났을 뿐만 아니라, 조합원들의 투쟁의지도 상당히 고무되어 있다"면서 "실질적으로 정권을 퇴진시키는 것이 쉬운 문제는 아니나, 이 투쟁을 통해 정권의 각종 개혁정책과 노동정책을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어 내는데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노보 305호(2001.5.3)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