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소리 "'재무상태 극도악화 기사' 삭제 요구"광주일보 "윤전직원과 실랑이 일자 스스로 뺐다"광주에서 일간신문과 진보성향의 주간신문이 편집권 침해여부를 둘러싸고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다. 당사자는 50년 전통의 광주일보와 창간 2개월 된 '시민의소리'. 시민의소리는 광주일보에서 인쇄돼 생활정보지 '교차로'의 배급망을 통해 배포되고 있다. 발단은 지난달 18일 시민의소리 1면 '광주일보 전남일보 재무상태 극도 악화' 기사가 새벽 인쇄과정에서 통째로 삭제된 채 다른 기사로 바뀌면서 비롯됐다. 시민의소리 측은 "광주일보 윤전부 직원들이 자사 비판 신문을 인쇄할 수 없다고 거부, 지난호 기사가 다시 실리는 파행을 겪었다"면서 "약점을 교묘히 악용한 명백한 탄압"이라고 주장했다. 또 시민의소리는 4일뒤 이 문제와 관련 독자의 양해를 구하는 사고를 썼으나 다시 광주일보와 마찰을 빚어 '엄중 항의한다'는 문구를 삭제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시민의소리 측은 생활정보지 '교차로'와 동시인쇄 동시배포를 해야 하지만 자동삽지 윤전기 시설을 갖춘 곳이 광주일보뿐이며 인쇄처를 옮길 경우 5백만원의 추가비용이 들어 울며겨자먹기 식으로 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광주일보 측은 "인쇄문제로 윤전부 직원들과 실랑이가 일자 시민의소리 중역이 스스로 기사를 대체했으며 인쇄거부를 한 적이 없다"고 밝히고 1개월 이내에 다른 인쇄처를 찾아보라고 통보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두가지로 두 신문사는 광주시민과 인터넷 신문 등으로부터 동시에 비판을 받고 있다. 광주일보는 폐쇄적 방법으로 자사비판을 거부하는 구시대적 모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며, 시민의소리는 대안언론과 편집권 독립을 주창하고 나섰지만, 스스로 모순에 빠졌다는 지적이다. 특히 시민의소리는 자본의 독립 없는 편집권의 독립의 한계를 보여 시민주주 등을 통한 홀로서기가 시급한 과제라는 뼈아픈 지적을 받았다. 시민의소리는 25일자 신문에서 파행의 전말을 공개하고 금융감독원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광주일보 전남일보의 총부채가 총자산의 70억원 이상을 초과해 기업존속 능력에 의문이 제기된다'는 내용의 기사를 게재했다. / 언론노보 305호(2001.5.3) 2면
만약 정부의 분권이 확실히 되지 않아 예전처럼 청와대에서 모든걸 컨트롤한다면 대통령을 욕하는게 맞지만, 지금의 이 상황은 국방부의 수구적인 태도를 욕해야지 노무현대통령을 욕하는건 아니지 싶네요. 행정부의 수반이 모든 행정을 관리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각부의 자율권이 얼마나 보장되어있는지 한번더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더하기-'정부'는 행정부의 줄임말입니다. 우리나라는 사법부 의회 행정부 로 나누어져 있지요. 행정부가 '정부'임에는 맞는 말이나 예전에는 꼭두각시에 불과하고 대통령의 뜻에 따라 모든걸 명령했죠. 하지만 참여정부의 성과중 하나는 확실한 '행정부'의 자율권을 보장한것입니다. 그러므로 예전의 '정부'는 대통령을 뜻하는 것이었지만 지금의 '정부'는 행정부의 각 부를 뜻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글에서 청와대와 국방부라고 명칭을 쓴 것은 그러한 이유여서구요.
저의 생각도 미군 완전 철수를 옳은 것이라고 생각하고 대추리 폭력진압에 대해서도 슬프고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어요.
하지만 모든 부가 하는 일을 청와대에서 통제하고, 청와대의 뜻대로만 한다면 우리가 참여정부를 처음 지지했던 의미가 없잖아요?
지금처럼 자유롭게 정부를 비판하면 소리소문없이 잡아가던 때도 있었구요.
대추리같은 폭력진압후 여론조작을 확실히 해버렸던 때가 있었지요.
예전같으면 대선자금 수사를 해도 현 대통령의 측근을 감옥으로 보내버릴만큼 칼같이 하진 못했지요. 그만큼 청와대에선 권력을 분산시킨거잖아요.
참여정부에서는 각 부의 자치권을 최대한 인정해서 좋은점도 있지만
예전 보수세력들이 자리잡고 있는 부는 예전보다 막강파워를 자랑하는거 같은데요.
자율권이라는것이 잘한다 못한다 정부에서 간섭하고 참견하는게 아니라 각 부에서 알아서 하는거라서 참여정부 이전처럼 정부(청와대)에서 간섭하구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없는 거잖아요.
더하기-'정부'는 행정부의 줄임말입니다. 우리나라는 사법부 의회 행정부 로 나누어져 있지요. 행정부가 '정부'임에는 맞는 말이나 예전에는 꼭두각시에 불과하고 대통령의 뜻에 따라 모든걸 명령했죠. 하지만 참여정부의 성과중 하나는 확실한 '행정부'의 자율권을 보장한것입니다. 그러므로 예전의 '정부'는 대통령을 뜻하는 것이었지만 지금의 '정부'는 행정부의 각 부를 뜻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글에서 청와대와 국방부라고 명칭을 쓴 것은 그러한 이유여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