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행은 파렴치범 재고의 여지 없어"컨폰압력 위원장은 진상조사 거쳐 징계1개월 끌어온 고질적 문제 정공법 돌파 산별노조 의지 천명- KBS 징계 의미와 배경언론노조는 지난해 10월 피해자의 문제제기로 표면화되기 시작해 7개월을 끌어온 KBS 강철구 부위원장 성추행 사건에 대해 극약처방을 내렸다. 선출직 노조간부에 대해 성추행 문제로 조합원 자격을 박탈한 것은 민주노총 사상 처음이다.KBS 부위원장의 성추행문제는 언론노조의 도덕성과 건강성을 중대하게 침해하며 조직의 근간을 뿌리째 뒤흔든 최악의 사건이었다. 노동운동진영의 성추문은 현대자동차, 보건의료노조, 한국통신계약직 노조 등에서 간헐적으로 있어왔다. 그러나 KBS 추문은 사태의 해결이 타의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나머지 3건이 자의반 타의반의 수습과정을 거친 것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언론노조는 그동안 시사저널 오마이뉴스 동아닷컴 여성신문 한겨레신문 등 수많은 매체가 보도하고 민주노총 여성단체 등이 공동대책위를 꾸려 집회에 나서면서 여론이 들끓는 상황 속에서도 산별조직의 결속력을 위해 KBS 본부의 자체해결을 촉구해 왔다. 언론노조는 더 이상 이를 방치할 경우 언론노조 자체가 사회적 지탄을 받는 조직의 위기상황을 맞을 것으로 보고 과감히 환부를 도려내는 결단을 내린 것이다.집행위원들은 지난 10일 징계위에서 언론노조가 산별 초기 조직강화, 임단협투쟁, 신문개혁이라는 중대한 현안이 산적해 있는데도 KBS 사건에 발목잡혀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돌파해 나가지 못하는 과오를 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KBS 본부가 성추행이라는 사태의 본질은 외면한 채 선거과정에서의 배후 음모론을 제기하고 징계절차의 연기를 요청하며 지연술책을 펴는 것은 이미 상식의 선을 넘고 있는 것으로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비판했다. 집행위원들은 또 이용택 위원장까지 창사기념품 선정과정에 개입해 위원장 부위원장이 나란히 탄핵에 회부되는 유례 없는 일이 벌어졌으며 조합원의 62%가 탄핵을 찬성하는 투표결과는 KBS 노조가 처한 도덕성의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며, 이미 존립기반을 상실하고 있는 반증이라고 지적했다. 6차 집행위가 부위원장 제명에 그치지 않고 위원장의 징계발의라는 초강수를 둔 배경에는 이같은 조합원 정서의 반영은 물론 건강성이 결여된 조직과 결코 함께 할 수 없다는 산별노조의 의지를 강하게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민주노총 손낙구 교육선전실장은 "운동진영 내에서까지 현실론 포용론을 앞세워 문제의 핵심을 비껴가는 풍토에서 언론노조가 모처럼 정공법으로 문제를 돌파했다"고 평했으며 금속연맹도 징계를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언론노조는 강 부위원장 징계내용을 본인과 본부 사측에 통보했으며, 진상조사 보고서를 여성부 노동부 등 관련기관과 단체에 발송할 방침이다. 이용택 위원장 문제와 관련해서는 창사기념품 선정 압력 외에 KBS 본부가 산별노조에 납부해야 할 조합비분담의무금 3개월분의 납부 거부(산별규약 17조 51조), 언론노조 지시사항의 불이행 등의 책임을 물어 차기 집행위에서 징계문제를 논의키로 했다. 언론노조는 집행위의 징계결과를 KBS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직무활동정지 가처분신청을 포함한 법률적 해결방안을 찾기로 했다. / 언론노보 306호(2001.5.16) 3면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