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관련 사설에 대한 신문민실위보고서찬성 1(경향) 중립2(한국 대한매일) 반대5(조선 동아 문화 한겨레 세계). 지난3월 새만금사업에 대한 국내 중앙일간지 사설의 스펙트럼이다. 정부와 민주당이 새만금사업을 계속 추진하기로 합의하자 5개 신문에서 반대를 했던 것이다. 그러나 지난 5월25일 사업강행이 최종 결정되자 이들 언론의 논조는 사뭇 달라진다. 10개 일간지중 한겨레만이 계속 반대를 주장했고 중립적 태도를 보인 대한매일은 '정부결정이 바람직하다'고 평가하며 갑자기 찬성으로 선회했다. '밀어붙이기는 안 된다'며 사실상 반대를 하던 동아는 슬그머니 뒤로 숨었다. 아예 사설을 싣지 않았던 것이다. 나머지 7개사는 새만금사업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나 일단 지켜보겠다는 식이다. 실제로 이들 7개 신문들은 새만금사업이 '경제적 가치도 의심(한국 5.26)'되며 '정부의 순차개발 방안이 미봉책에 불과... 제2의 시화호 위험이 여전히 남았다(중앙5.26)'고 주장했다. '많은 난제가 첩첩산중(경향5.26)'임을 밝히는 한편 정부대책에 '납득할 만한 대책이 없다(문화 5.26)'면서 '사업이 지속될지 조차 의심스럽다(조선 5.28)'고 비판했다. 지난 3월에 지적했던 문제점을 그대로 반복한 셈이다. 이번 새만금대책에 개선된 내용이 없으니 이들의 비판은 적절했다. 그러나 신문들은 개발강행이 잘못이라고 생각은 하지만 반대는 않겠다는 어정쩡한 태도를 보였다. 두 달여 전 같은 문제점을 근거로 새만금사업을 반대했던 이들 신문들이 그 논조를 후퇴시킨 배경에는 시장상황에 대한 고려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이후 새만금대책을 둘러싼 갈등은 첨예하게 맞서 증폭되어 왔다. 초기에 환경론자와 개발론자의 갈등구도는 새만금주변 주민들의 개발요구가 커지면서 점차 환경단체와 전북도민의 대결구도로 바뀌었다. 주변상황이 이렇게 변하자 신문들은 전북지역 독자들의 반발을 의식하게 되었고 구독 부수가 줄어들 것을 염려해 반대주장의 수위를 현저히 낮춘 것이라는 판단이다. 신문들은 새만금 강행이 전북유권자에 대한 '정치적 고려가 개입됐다(중앙 조선 )'고 비판했지만, 신문들 역시 전북지역 독자라는 시장상황을 고려해 반대의 목소리를 접었다. 왜 신문의 논조를 바꿨는지 에 대한 설명은 한마디도 없었다. 두 달여 만에 손바닥 뒤집듯 논조를 바꾼 신문들은 자기합리화까지 시도했다.이들은 정부결정이 '고육지책(국민 5.28)'이며 '이왕 결정된 이상... 친환경사업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세계 중앙 5.26)'고 말한다. 환경단체에 대한 충고도 잊지 않는다.'더 반발하지 말고 긍정적 기여를 하라(중앙 대한매일 5.26)'고.새만금사업의 찬반 중 어느 쪽이 진리인가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양측 모두 나름대로의 논리와 타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론이 자신들의 논조를 바꿀 때에는 그에 상응하는 해명과 반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소홀히 하는 것은 독자와의 신뢰를 저버리는 처사이다.새만금사업에 대한 논란의 불씨는 여전하다. 지난 29일에는 새만금 강행에 반대해 정부내 환경관련위원회 민간위원 54명이 사퇴하는 일이 벌어져 적지 않은 파장을 불렀다. 향후 이들 신문들은 또 어떻게 바뀔지 자못 궁금하다.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