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조합원들이 투쟁하고 있다. 임·단협 결렬에 따른 쟁의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내용적으로는 족벌들의 퇴진을 통한 전면적인 한국일보의 개혁이다. 우리는 안팎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신문개혁투쟁의 맨 앞에 서 있는 한국일보 조합원들의 이 아름다운 투쟁에 깊은 신뢰와 연대의 박수를 보낸다. 한국일보 주주들의 무능경영과 각종 비리 의혹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지난 수 년 동안 노조는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면서 '검은 경영'의 고리를 끊고 투명경영을 실현할 것을 촉구해왔다. 이는 언론노조 한국일보지부 노보인 『소식』 합쇄본 5집을 보면 모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는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부실경영, 주주들의 가지급금은 물론 자회사 및 관계회사 문제까지 상세히 증언하고 있고 그 대안까지 제시하고 있다. 단언컨대 노조의 소리에 좀 더 귀기울이고 그 대안을 실천했다면 오늘의 위기 상황은 없었을 것이다. 우리는 이번 한국일보 사태의 모든 문제가 '가지급금' 문제에 압축돼 있다고 판단한다. 언론노조가 '업무상 배임 또는 상법상의 특별배임죄 등'으로 주요 주주 열 한 명을 검찰에 고발한 바도 있지만 회사가 존폐의 기로에 서 있는 상황인데도 수백 억의 가지급금을 돌려놓고 있지 않다는 것은 도의적으로 상식적으로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신문 기사로는 개혁을 말하고 투명 경영을 강조하면서도 자신들은 그에 아랑곳없이 회사 돈을 빼돌리고 개인의 이익추구에 급급해 온 것을 보며 우리는 분노를 넘어 비애마저 느낀다. 한국일보 문제를 푸는 해법은 누구보다 장 회장을 비롯한 주주들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이 상태로 한국일보의 미래가 없다는 것 또한 그들 스스로가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방법은 하나다. 그동안의 부실경영에 대해 사과하고 물러나면 되는 것이다. 사퇴하는 것만이 한국일보 전체 사원은 물론 신문을 위한 길임을 거듭 말하고자 한다. 장 씨 족벌이 물러나는 그 순간부터 한국일보는 전혀 새로운 신문, 다시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신문으로 거듭날 것임을 우리는 확신한다. 주주들은 더 늦기 전에 빨리 결단해야만 한다. 한국일보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