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경영계 월차 생리휴가등 이견 첨예언론노조, 특수성 감안 정책연구팀 구성키로정부의 주5일 근무 조기도입 추진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휴가 축소와 비정규직 보호 등을 중심으로 한 노사간 이견이 점차 첨예화되고 있다.언론노조는 이에 따라 주5일근무 연구팀을 구성하고 대응정책 마련에 착수키로 결정했다. 연구팀에는 신문 방송 인쇄출판 등 각 부문 1인씩 총 3인으로 구성될 예정이다.민주노총은 정부 발표 직후인 지난달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월차휴가를 연차에 합쳐 대폭 줄이는 방식은 비정규직의 유일한 휴가인 월차휴가를 뺏기는 결과'라고 지적한 뒤 '여기에 생리휴가까지 없애면 전체 직장여성의 70%나 되는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는 월차와 생리휴가 모두 잃는 결과가 된다'며 노동조건의 후퇴불가 입장을 명확히 했다.민주노총은 또 재계가 요구하고 있는 변형근로제 확대와 시간외 근무수당에 대한 할증률 인하 등은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주5일 근무 도입의 근본취지를 뒤흔드는 일이라고 지적했다.아울러 민주노총은 '정부와 재계가 노동조건 후퇴를 강행할 경우 모든 조직력을 동원해 강력히 투쟁해 나갈 것'임을 천명했다.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6일 발표를 통해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하면 총 휴일수가 165∼175일에 달해 일년의 반이 휴일이 된다'고 주장하며 기존휴가의 축소 등을 주장했다.상의는 또 하계휴가 4.2일, 회사창립일 1일, 노조창립일 1일, 경조사 휴가 4.2일 등 총 10.4일의 약정휴가를 거론하며 마치 외국에는 없고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처럼 간주하고 있습니다.상의는 이어 노동자 1인당 무려 4.2일의 경조사 휴가 발생까지 계산해 넣었다.민주노총은 그러나 '상의의 발표는 전체 노동자의 12.2%에 지나지 않는 정규직 여성 노동자 가운데서도 11년을 근속하고, 주휴일과 겹치는 공휴일 4일치도 찾아 쓸 경우에 가능한 수치'라며 '휴일휴가 줄이고 할증률 낮추면 실노동시간이 줄지 않는 '조삼모사''라고 반박했다.민주노총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정부 통계로도 전체 노동자의 53%에 달하는 689만 비정규직 노동자는 현행 휴가제도를 유지한 채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해도 휴일수가 119∼131일에 머물게 된다. 2백37만8천여명에 이르는 일용직 노동자(전체의 18.1%)는 현행 휴가제도를 유지한 채 주5일근무제를 도입한다 해도 연간 휴일수는 119일에 지나지 않고, 4백51만1천여명의 임시직(전체의 34.4%) 노동자는 연간 휴일이 남녀 각각 125일, 131일로 나타났다.민주노총은 "현행 휴가제도를 유지한 채 주5일근무를 도입했을 때 실제로 1천3백만 전체 노동자의 평균 총휴일수는 136.5일로 이는 선진국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언론노보 310호(2001.8.15) 4면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