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CJHV 인수합병 불허에 대한 노동조합의 입장 지난 5일 공정거래위원회는 SKT의 CJHV의 주식 취득과 합병을 모두 불허하는 내용의 심사 보고서를 SK 측에 전달했다. 지역방송권역의 독점적 지배 우려와 재벌의 금권을 앞세운 방송 콘텐츠 생태계 파괴 우려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던 상황을 고려할 때 이 정부 들어 내린 몇 안되는 상식적 결정이라고 본다.그동안 사측은 이 문제를 SBS의 미래 생존권에 대한 중대한 도전으로 간주하고 반대여론 조성을 위해 총력전을 벌여왔다. 사측이 내세운 논리는 모바일과 케이블 시장의 결합을 통해 통신 재벌이 방송시장마저 독점하고 막강한 자본력으로 각종 방송 제작 요소를 싹쓸이해 미디어 생태계를 파괴하게 되면 지상파 플랫폼의 붕괴로 이어지고 이는 여론 다양성과 방송의 공공성에 치명적 타격을 입힐 것이라는 게 핵심이다. 노동조합의 판단도 다르지 않다.다만 정부가 SKT와 CJHV의 인수합병을 불허한다고 해서 상황이 달라진 것은 별로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격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 이와 유사한 형태로 합종연횡을 통해 시장 영향력을 키우려는 시도는 계속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돌파할 수 있는 길은 역시 지상파 플랫폼의 공공성을 확고히 하고 콘텐츠 경쟁력을 배가하는 것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이정현 녹취록 보도 등에서 알 수 있듯이 끊임없는 눈치보기로 권력에 대한 감시와 견제, 민주주의와 인권 수호라는 언론 본연의 책무를 도외시하면서 방송의 공공성과 콘텐츠 경쟁력을 말하는 것은 자가당착이자 언어도단이다. 이런 와중에 SKT-CJHV 인수합병을 막겠다며 무차별적으로 SKT와 CJ를 비판하는 아이템들을 방송해 봤자, 밥그릇 빼았기니 좌판 엎어버리겠다는 조폭적 행태라는 조롱으로 되돌아올 뿐이다. 반복되는 지상파의 불공정 방송으로 인해 SKT-CJHV 인수 합병에 지속적으로 반대해 왔던 언론단체들과 시민사회 내부에서는 이미 망가질 대로 망가진 지상파 방송의 논리를 옹호하고 지상파 플랫폼을 보호한다고해서 과연 방송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도록 만들 수 있겠느냐는 회의론이 심각하게 일고 있다. 사측에 바란다.방송의 공공성은 우리가 급할 때만 적당히 뽑아 쓰는 화장실 앞 자판기 휴지가 아니다. 격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 방송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전면적으로 이행하고 이를 통해 국민적 신뢰를 공고히 하는 것이 SBS의 미래 생존에 절대적 조건임을 직시하기 바란다. <끝>. 2016년 7월 7일 전국언론노동조합 SBS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