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활동자료

제목

[보고서 2023-6호] 파이낸스투데이 누더기 정정·반론 보도와 기사 삭제

등록일
2023-10-23 09:21:13
조회수
1608
첨부파일
 [민실위 보고서 2023-6호] 파이낸스투데이 누더기 정정·반론 보도와 기사 삭제.pdf (705942 Byte)

민실위 보고서 2023-6호 

파이낸스투데이 누더기 정정·반론 보도와 기사 삭제

 

언론노조 혐오 정정 4건, 반론 5건

문구 삭제와 ‘기사 전체 삭제’까지

취재 보도 원칙 없고 교열도 안 돼

 

▴파이낸스투데이 홈페이지에서 ‘반론보도’를 검색한 결과

 

 인터넷신문 파이낸스투데이 화면이 ‘언론노조 혐오 관련 정정과 반론 보도’로 누덕누덕하다. 지난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1년여 동안 정정 4건, 반론 5건을 보도했다. 언론중재위원회 조정으로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에 장악된”과 같은 문구를 지우거나 기사 전체를 삭제한 사례까지 나왔다.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 민주언론실천위원회는 이런 언론중재위 정정·반론 조정 사례가 오로지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 쪽만 바라보는 취재 행태와 언론노조 반론을 무시한 데서 비롯했다고 짚었다. 특히 교열조차 부실한 파이낸스투데이 보도 행태가 빚는 명예 훼손 실태가 무거워 민주 시민 사회와 언론계에 보고한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자신들이 최대주주로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는 미디어오늘 이라는 매체는 지분의 30% 이상을 3개의 건설회사에 스스로 넘겼다.”

 파이낸스투데이 2023년 9월 8일 자 <[칼럼] YTN 민영화에 ‘자본의 먹잇감’ 운운한 언론노조··· “역지사지”> 속 문장. 제대로 교열되지 않았다. 밑줄 친 ‘미디어오늘’과 ‘이라는’을 띄어 쓴 건 작은 실수려니 하고 눈감을 수도 있겠으되 문장을 제대로 안아 쓰지 못해 문제다. 건설 회사에 지분을 넘긴 ‘스스로’가 누구인지를 뚜렷이 알 수 없게 썼다. 특히 문장이 허위 사실을 품고 있어 바로잡도록 조정됐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미디어오늘 지분을 판 사실이 없고 대원산업개발, 신진건설, 이화건영은 미디어오늘의 소액 공모에 따라 주식을 취득한 것으로 밝혀졌다”는 정정 보도였다.

 “언론노조가 미디어오늘 경영권을 행사한다”거나 “언론노조 자신들도 언론사를 운영함에 있어 경영난이 왔기 때문에 지분을 판 것”이라는 보도 속 주장도 전혀 사실이 아니었다. 파이낸스투데이 쪽에선 “언론노조가 미디어오늘 최대 주주”라는 주장만 되풀이했을 뿐 ‘언론노조가 미디어오늘을 경영한 증거’를 내놓지 못했다. 결국 파이낸스투데이는 “(언론노조가) 미디어오늘을 포함해 언론사를 운영한 사실이 전혀 없고, 경영권과 운영권을 갖겠다고 요구한 바도 없다고 알려 왔다”는 반론 보도를 함께 내야 했다.

 기사뿐만 아니라 ‘칼럼’도 사실을 바탕으로 삼아 써야 한다. 칼럼 속 주장이 언론노조 명예를 깎아내릴 수 있다면 더욱 빈틈없이 사실 여부를 살피고 반론도 보장하는 게 옳다. 그리하지 않았다면 ‘논평할 만한 자질’부터 가다듬어야 한다.

 

“공영방송 영구 장악” 비난 일색 기사 전체 삭제

 

▴2023년 10월 16일 언론중재위가 파이낸스투데이 8월 14일 자 ‘공영방송 영구 장악’ 관련 기사를 삭제하라고 조정했다.

 

 “향후 신청인의 반론 보장이나 합리적 근거 없이 ‘신청인이 공영방송을 영구 장악하려고 한다’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파이낸스투데이가 지난 1년여 동안 되풀이한 “언론노조의 공영방송 장악” 허위 적시를 멈추기로 약속했다. 2023년 8월 14일 자 <언총 “공영방송 영구 장악 야욕 분쇄 위한 비상투쟁본부 출범”> 보도 전체를 지우기로 한 것과 함께였다.

 기사 삭제도 모자라 앞으로 “언론노조가 공영방송을 영구 장악하려 한다”는 표현을 쓰지 않기로 약속까지 한 건 파이낸스투데이 쪽 ‘고의’ 때문이다. 같은 문구가 담긴 기사나 논평 때문에 정정·반론 보도를 낸 일이 많아 관련 내용이 ‘허위인 걸 뚜렷이 알고 있음’에도 언론노조 명예 훼손을 거듭했으니 져야 할 책임이 무거워진 것.

 실제로 파이낸스투데이는 2023년 5월 15일 자 <[사설] 좌파 진행자들의 얼굴, 심술과 열등감으로 가득 “왜?”>에서 “최근 언론노조에 장악된 KBS와 MBC의 시사 프로그램이 소위 ‘맛이 갔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공연히 적시하는 등 날로 악의 무게를 더했다. 지난 2022년 8월 29일 자 기사 <민주노총 언론사들, 필사적으로 권성동 비판 “왜?”>로 “(언론노조가) 공영방송 시청자위원회에 좌파 성향 이사를 집어넣고 임원진 인사권에도 관여하려 한다”고 보도했다가 정정했고, 같은 해 12월 5일 <[칼럼] “염치없는 좌파 언론 카르텔의 최대 약점이 뭐냐면”>에서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시민단체·언론단체·학회를 거수기로 삼아 영구히 공영방송을 장악하겠다는 의도를 가졌다”고 적시했다가 “전국언론노동조합이 ‘공영방송 지배권 장악’을 꾀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밝혀 왔다”는 반론 보도를 낸 뒤였다.

 파이낸스투데이는 언론중재위의 정정·반론 조정에도 ‘언론노조 방송 장악’ 허위 적시를 멈추지 않았다. 2023년 4월 9일 자 기사 <박영환 전 KBS 앵커 등 언론인들, 방송법 개정안 반대 시위 동참>에서 “민주당이 공영방송 이사 3분의 2 이상을 친민주당과 민주노총 언론노조 추천 인사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방송법 개악안을 강행 의결하려 하고, 이는 민주노총 언론노조가 공영방송을 영구적으로 장악하려는 꼼수에 불과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가 언론중재위 조정으로 ‘정정 및 반론’ 보도를 냈다. “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방송법 개정안에는 언론노조가 공영방송의 운영위원을 추천하도록 한 내용은 없는 것으로 확인돼 이를 바로잡는다”는 정정과 함께 “전국언론노동조합 측은 ‘국민의힘과 정의당을 포함한 거의 모든 정치 세력에게 공영방송 지배구조에 정치권력 입김이 닿지 않게 할 방송법 개정을 요구했을 뿐, 공영방송을 영구 장악할 뜻이 전혀 없다’고 알려 왔다”는 반론 보도를 내야 했다.

 특히 파이낸스투데이는 2023년 4월 9일 자 기사에 따른 ‘정정 및 반론’ 보도 뒤 불과 이틀 만인 8월 14일 ‘공영방송 영구 장악’ 허위 적시를 보란 듯 거듭해 악의를 내보였다. <언총 “공영방송 영구 장악 야욕 분쇄 위한 비상투쟁본부 출범”>이라는 제목으로 “민주노총 언론노조가 방송 장악 주범이고, 공영방송이 노영방송이라는 치욕적인 상태에서 벗어날 때까지 공영방송을 영구 장악하려는 언론노조와 끝까지 투쟁하겠다”는 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 비상투쟁본부 성명을 보도한 것. 언론중재위 조정으로 이 기사 전체를 지운 까닭이 됐다.

 

‘언론노조 혐오’ 관련 언론중재위 조정 대상 파이낸스투데이 기사

조정 결과 

2022년 8월 29일 ‘뉴스일반’면 <민노총 언론사들, 필사적으로 권성동 비판 “왜?”>

정정 보도

2022년 12월 5일 ‘뉴스일반’면 <[칼럼] “염치없는 좌파 언론 카르텔의 최대 약점이 뭐냐면”>

반론 보도

2023년 4월 3일 ‘뉴스일반’면 <국민의힘 “방송법 개정안··· 민주노총 언론노조 장악한 공영방송 지배구조 영구 음모”>

반론 보도

2023년 4월 9일 ‘뉴스일반’면 <박영환 전 KBS 앵커 등 언론인들, 방송법 개정안 반대 시위 동참>

정정 및 반론 보도

2023년 4월 13일 ‘뉴스일반’면 <[칼럼] 미디어오늘, 알고 보니 민주노총 언론노조가 최대 주주?>

정정 보도

2023년 5월 12일 ‘뉴스일반’면 <민주노총 간첩 혐의 간부 4명 구속 기소··· “민주노총 해체 목소리 커질 듯”>

일부 문구 삭제

2023년 5월 26일 ‘뉴스일반’면 <김장겸 전 사장 “친언론노조 MBC 출신 인사들 예의 주시해야··· 광우병 같은 조작 보도 획책 가능성 있다”>

반론 보도

2023년 8월 14일 사회면 <언총 “공영방송 영구 장악 야욕 분쇄 위한 비상투쟁본부 출범”>

기사 전체 삭제

2023년 9월 8일 뉴스일반면 <[칼럼] YTN 민영화에 ‘자본의 먹잇감’ 운운한 언론노조··· “역지사지”>

정정 및 반론 보도

 

언론노조를 헐뜯는 쪽에만 귀 기울인 취재와 보도

 

▴2023년 5월 12일 파이낸스투데이 보도 가운데 ‘언론노조의 공영방송 장악’ 관련 문구.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에 장악된’을 삭제하라고 언론중재위가 조정했다.

 

 “‘한편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에 장악된 KBS와 MBC는 민주노총 간부의 간첩 혐의 구속 기소 뉴스를 숨겨 놓고 전하지 않아 빈축을 샀다’에서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에 장악된’을 삭제한다.”

 파이낸스투데이 2023년 5월 12일 자 <민주노총 간첩 혐의 간부 4명 구속 기소··· “민주노총 해체 목소리 커질 듯”> 보도 가운데 ‘언론노조의 공영방송 장악’ 관련 문구를 지우라는 언론중재위 조정 결과이다. 지난 2022년부터 파이낸스투데이가 언론노조의 방송 장악 관련 허위 적시를 ‘의도를 가진 채 반복’한 것으로 보이니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에 장악된’을 지우라는 것. 특히 언론노조에 진실 여부를 묻거나 반론을 보장한 적도 없어 손해 배상 책임까지 져야 할 개연성이 엿보이기도 했다.

 파이낸스투데이는 같은 기사에서 “민주노총이 최대 주주인 민언련 기관지 미디어오늘”이라고 허투루 쓰기도 했는데 모두 사실이 아니었다. 민주노총은 민언련(민주언론시민연합)이나 미디어오늘 최대 주주가 아니기 때문. 미디어오늘도 민언련에 소속된 적이 없기에 ‘기관지’로 적시될 까닭이 전혀 없다.

 사실 확인과 반론 보장 없이 허위 사실을 적시하는 건 언론 윤리에 어긋난다. 이런 취재 보도 원칙을 알고 있음에도 ‘허위 여부를 상관하지 않는 보도 행태’를 일삼는다면 악의다.


 

2023년 10월 23일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실천위원회

 

 

작성일:2023-10-23 09:21:13 1.217.161.170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게시물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최신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