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폐업 눈치보고
롯데 파업 뺨때리고
금융 파업 협박하고

강자에게 약하고 노동자에 강한 언론의 일그러진 이중성 드러내


롯데호텔 파업과 금융노조 파업보도는 강자에게는 약하고 약자에게는 한없이 강한 우리 언론의 일그러진 이중성을 극명하게 드러냈다.
언론노련 민주언론실천위원회(민실위)는 지난 6월 29일 새벽 경찰의 롯데호텔 파업 폭력진압 이후부터 7월 11일 금융노조 파업타결시점까지 우리 언론의 보도양태를 분석한 결과 의사폐업 보도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축소/왜곡/협박 보도가 난무했다고 지적했다.
민실위는 어론이 의사폐업 당시는 양비론을 펼치며 관망태도로 일관했으나 롯데/금융 파업에 대해서는 집단이기주의로 몰며 협박성 일방매도에 나서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 권력의 모습을 그대로 답습했다고 비난했다.
대한매일은 30일자 '불법행동 엄단해야'라는 사설을 통해 롯데호텔 노조원들의 파업은 '집단이기주의의 도미노 현상'으로 '국민들이 국가공권력을 우습게 보기 때문'이라며 '대통령이나 장관의 지시가 없어도 상시적으로 엄단해야 한다'고 썼다. 또 같은날 '집단이기주의 안된다'는 시리즈와 사회면 기사, 3일자 사설을 잇따라 게재하며 이번 사태의 책임을 '눈앞 이익에 급급해 극한대결을 자초한 노조'에 돌렸다.
30일 조선일보도 사회면 '손님배려는 없었다'는 기사를 게재, 외국인 투숙객들의 불편만을 강조하고 농성하며 불고기를 구워먹기도 했다며 사태의 본질을 호도했다.
중앙일보와 동아일보도 진압특공대의 일방적 폭력에 대해 침묵한채 진압사실만을 알리는 축소보도로 일관했으며 특히 중앙일보는 1일자 사회면 '롯데호텔 파업에 서울일대 객실난' 기사를 통해 초점을 흐리는 어이없는 보도태도를 보였다.
금융파업은 원인진단에서 처방까지 부실한 보도를 했다.
노조를 삐딱하게 보는 시각과 편파성도 여전했다. 일부 신문들은 금융파업을 집단이기주의로 몰아부쳤다. "국민의 재산을 담보로 한 힘겨루기...누가 더 큰 대란을 일으키는 지 경쟁이라도 하는 듯(국민 3일 사설)"이 대표적인 사례.
파업예정일인 11일이 가까워지자 신문들은 노조를 협박하고 경제불안을 과장하는 듯한 보도를 하기 시작했다.
한국일보는 10일 "은행파업 최악땐 제2의 환란"기사를 9면 톱으로 처리
저작권자 © 전국언론노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