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정책

제목

세월호 1년. 경기지역 보도는?

등록일
2015-04-27 17:29:43
조회수
3728
첨부파일
 4-2-세월호 1년 경기지역 언론들 sewol.pdf (646822 Byte)
세월호 1년. 경기지역 보도는?경기민언련이 세월호 참사 이후 경기신문, 경기일보, 경인일보, 중부일보를 모니터한 결과입니다. 약 1년치를 모니터 한 내용에는 각 기사들의 출처가 정치권, 검경, 유가족 시민단체, 자체 분석 등인지 분류를 했습니다. 또 각사의 노력이 돋보이는 기사를 뽑았습니다.
세월호 참사 1년. 경기지역 신문의 보도를 돌아본다민진영(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1. 들어가며2014년 4월 16일. 수학여행을 떠난 안산의 단원고 학생들과 일반인 승객들이 타고 있던 세월호 침몰 사고 소식은 온 국민을 충격에 빠뜨렸다. ‘전원 구조’라는 문자에 안도의 한숨을 쉬었던 시민들은 그 문자가 오보였고 많은 사람들이 배안에 있다는 소식에 불안과 구조를 염원하는 마음으로 텔레비전, 인터넷을 지켜보고 있었다. 사고 당일 경기도 교육감 진보 후보 단일화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위해 경기도의회에 있던 필자는(당시 2014 행복한경기교육희망연대 집행위원장) 네 명의 후보들과 토론회 연기를 합의했고 후보들은 무사귀환을 바라는 마음으로 안산, 팽목항으로 달려갔다. 기울어져 가는 배를 바라보며 모두가 구조될 것이라는 시민의 바람은 좌절과 분노로 이어졌다. <가만히 있으라>고 방송하고 탈출한 선장과 일부의 승무원, 긴급 출동한 헬기를 진입 통제한 해경, 우왕좌왕한 사고대책본부, 무능력한 정부 등 재난사고에 대한 매뉴얼이 지켜지지 않았고 너무나 많은 이들이 우리의 곁을 떠나갔다. 모두가 방송으로 지켜보는 가운데 그들이 왜 죽어가야만 했는지 시민들은 의아심과 정부 및 해경의 무능에 분노했다. 그 후로 1년... 자식들을 가슴에 묻은 단원고 유가족들은 서명운동, 도보행진, 단식농성으로 자신의 자녀들이 왜 죽었는지 진실을 규명해 달라고 요구했다.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려는 최소한의 의지인 세월호 특별법도 정부는 유가족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고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활동마저 시행령으로 진실규명을 가로막으려 하고 있다. 지난 토요일(4월 11일)에는 시행령 폐지를 요구하는 유가족들을 연행하기도 했다. 세월호 참사 1년을 맞아 각 지역에서 추모주간으로 선포하고 여러 행사 및 집회를 준비하고 있다.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인천경기기자협회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이 주관으로 진행하는 이번 토론회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지난 1년간 경기지역 신문의 보도를 분석하고 문제점,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월호 참사 이후 사실확인도 하지 않고 정부, 해경의 보도 자료를 받아써 많은 왜곡보도를 한 일부 종편의 보도로 ‘기레기’라는 신조어가 생겼으나 이 토론회는 문제점만을 지적하기 위한 것이 아닌 건강한 풀뿌리 언론을 바라는 마음으로 대안을 제시, 함께 소통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우선 모니터 대상은 경기신문, 경기일보, 경인일보, 중부일보(가나다순)으로 기자협회소속사 중 본사가 경기도에 있는 신문 중 ABC협회에 발행부수 1만부 이상을 신고한 신문사로 한정했다. 통신사는 빠른 소식을 전해야 하는 시의성을 우선으로 하기에 제외했고 경기방송과 OBS는 뉴스 시간 전부를 모니터하는 것이 어려웠고 기호일보와 인천일보는 본사가 인천에 있어 제외했다. 모니터 기간은 2014년 4월 17일부터 2015년 3월 31일 까지였고 모니터는 기사와 사설로 한정, 칼럼과 외부기고는 제외했다. 모니터 범주로는 정치인 및 정당의 입장을 정치권, 검찰과 경찰의 발표, 수사과정을 검.경, 시민단체와 유가족의 입장을 유가족,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을 지자체, 신문사의 기획기사나 단독기사를 자체기사, 종교계 및 단원고, 경제계의 기사를 기타로 분류했다. 또한 사무국장과 모니터를 나누어 했기에 개인의 판단에 따라 자체기사와 기타기사로 분류함에 있어 약산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힌다.
작성일:2015-04-27 17:29:43 1.217.161.170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