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성명/논평

제목

[기사]

등록일
2004-05-11 21:17:53
조회수
1956
"신문시장 정상화는 언론개혁 첫걸음" 언론관련 7개 단체, 7일 기자회견'신문시장 정상화' 투쟁의 신호탄이 쏘아졌다.민언련, 언론노조, 언개연, 언론인권센터, 기자협회, PD연합회, 한국언론정보학회는 지난 7일 안국동 느티나무에서 공동성명을 통해 '신문시장 정상화는 언론개혁의 첫걸음이다'라고 밝혔다. 언론관련 7개 단체 이어 ▲경품 일절 금지 ▲유가부수 5% 이내로 무가지 발행 ▲불공정행위 제재 조항 강화 차원의 포상금제 도입 ▲신문판매부분에 부가가치세 도입 등을 촉구했다.7개 단체는 이어 13일 <언론계 과거청산 문제>, 20일 <편파·왜곡보도 개선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27일 <민영방송 규제 방안>, 다음달 3일 <17대 문광위,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언론개혁 연속 토론회를 진행한다.7일 기자회견에서 이명순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이사장은 "신문시장의 경쟁 게임의 룰이 시장바닥의 상인의 룰 보다 못하다"며 "무가지, 경품 등 다른 업종에서는 없는 일로 공정위가 신문고시까지 만들어 통제해야 하는 상황까지 온 것이 착잡하다"고 밝혔다.신학림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은 "경품 무가지 등의 무차별적 살포 없이는 신문들이는 생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공정위는 신문시장에 대해 손놓고 있다. 거창한 언론개혁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불법행위를 처벌하라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와 관련 지난 4월29일 발행된 경향신문 노보에서 박용선 판매본부장은 아래와 같이 신문시장의 불공정 거래를 비판했다."신문고시에서는 무가 기간을 2개월로 못박고 있지만 4~6개월, 심지어 1년까지 무가로 하기도 한다. 경품의 경우 연 구독료의 20%까지 가격상한선이 있지만 10만원짜리 상품권에, 자전거 등 고가 경품이 요즘에는 보다 은밀하게 거래되고 있다. 조선, 중앙의 가격할인은 덤핑이다. 이것은 신문업계를 몇 년 후퇴시켰다. 조중동의 월 절독률은 4%, 연 48%수준이다. 매년 절반의 독자가 떨어져 나간다는 얘기다. 그러나 막강한 재원으로 독자들을 다시 충원하고 있다."한편, 민언련은 이날 5개 신문사 지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가지·경품지급 실태 조사를 발표했다. 무가지와 경품을 지급한 지국으로는 중앙일보가 100곳(총 106곳 조사), 조선일보 82곳(120곳), 동아일보 78곳(104곳), 경향신문 37곳(59곳), 한겨레신문 23곳(106곳)으로 집계됐다. 3개월 이상 무가지 무가지+경품 경품만 신문고시 준수 총계경향 16 37 2 4 59동아 22 78 1 3 104조선 32 82 2 4 120 한겨레 39 23 2 42 106중앙 3 100 2 1 106총계 112 320 9 54 495
작성일:2004-05-11 21:17:53

하단영역